학술논문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이용수 0
- 영문명
- Class-Based Inequalities in Law School Admission Prepar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이안진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35권 제2호, 229~26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법무전문직 진입이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의 결과에 국한되지 않고, 고소득층의 지위 유지를 위한 전략이자 취약계층의 계층 상승 수단으로 작동하는 사회적 진로 결정의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을 준비 중인 대학 재학·휴학·졸업(예정)자 19명과, 법학전문대학원 재학생 및 졸업 후 변호사시험 결과 대기자 21명 등 총 4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질적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석은 참여자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준비 과정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국가장학금 소득 구간, 부모의 직업, 출신 대학, 성별, 전문직 친족 유무 등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5개의 주제로, ‘경제적 안전과 명예 추구’, ‘자신이 가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한국 노동시장 내 성차별이 법무 전문직 진입의 영향’, ‘법무 전문직 친족의 영향’, ‘불안한 취업시장에서 불확실성 회피’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학력 및 경제적 자원을 활용하여 법무전문직 진입을 준비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기회 사재기(opportunity hoarding)와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의 메커니즘이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법무전문직은 본질적으로 높은 진입 장벽을 지닌 폐쇄적 영역이며, 고학력·고소득층 배경을 가진 집단이 진입 가능성을 독점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계층 재생산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동됨을 인식하였다. 또한, 진입 장벽 완화를 위한 장학금 확대 등의 경제적 지원 제도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eals that entry into the legal profession in South Korea is not solely the result of individual merit or effort, but rather a socially structured occupational decision functioning both as a strategy for status preservation among the affluent and a means of upward mobility for the disadvantage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0 participants: 19 individuals currently preparing for admission to law school—including current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on leave, and recent graduates—and 21 law school students or recent graduates await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Bar Examination. Based on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the analysis focuses on how socioeconomic factors shape participants’ occupational motivations and preparation processes. Key indicators considered—such as state scholarship income brackets, parental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and the presence of legal professionals in the family—are used to identify classed pathways into the profession.
The findings are organized around five key themes: (1) the pursuit of economic sta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2) the exploitation and mobilization of available resources; (3) the impact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Korean labor market on legal career decisions; (4) the motivational role of familial ties to legal professionals; and (5) risk aversion amid a precarious job market. Participants actively utilized their educational and economic capital to navigate the competitive admission process, illustrating mechanisms of opportunity hoarding and social closure in access to the legal profession. Despite institutional reforms toward a professional graduate law school model, the legal profession remains exclusionary, disproportionately favoring individuals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and affluent famili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law school system reinforces class reproduction under the guise of meritocracy. The study contributes to research on professional stratification by illuminating how institutional transitions intersect with enduring social hierarchies. It also emphasizes the need for expanded financial aid programs, such as full scholarships, to lower structural barriers to entr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 대학 진학 선택의 불평등 실태와 변화: 재수·반수 선택의 계층화를 중심으로
-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2010년~2023년 KCI 등재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된 질적연구 논문동향 분석(1990-2023)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을교육공동체 발달 모형 개발
- 서울 4년제 대학생의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준비 경험과 계층 불평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조금 돌아서 온 지름길”: 명문대 지역 분교 출신 청년들의 내러티브에서 나타나는 학벌주의의 역설
- 학군에 따른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변화: 서울 지역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계선지능 학습자 담론의 사회적 구성: 텍스트마이닝 기반 뉴스·보도자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