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Support for Oral Car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Daily Life Activities Curriculum: Exploring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희(Hyehee Cho) 박은혜(Eunhye Park) 송주희(Juhee Song) 이민지(Minji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301~3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학생의 학교 내 구강관리와 관련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고, 2022년 개정 교육과정 ‘일상생활활동’영역 추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확인하여 특수교육 환경에서의 구강관리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지체장애학교 특수교사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온・오프라인의 하이브리드방식으로 개별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으로수집된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여 4개의 대주제 ‘1) 지체중복장애학생의 특성과 구강관리의 취약성, 2) 구강관리 실행과정에서의 한계와 교사의 실천과제, 3) 구강관리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 4) 2022 개정 교육과정과 구강관리 실행 기반 조성’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토대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을 위한 개별화된 구강관리 도구개발, 특수교사 및 지원인력의 정기연수와 현장 중심의 교육기회 마련, 전문 치과병원과 학교 간 정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등의 구체적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teachers related to oral care in school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onfirmed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about the addi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aily life activities’, and sought practical ways to activate oral care support in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s. Eight special teachers from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hybrid online and offline manner. Four major topic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through 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four topics included: 1)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vulnerability of oral care; 2)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oral care and the teacher’s practical tasks; 3)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execution ability of oral care; and 4) creating a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oral ca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pecific support measure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oral care tools to support oral care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gular training and field-oriente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pecial teachers and support perso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gular cooperation system between specialized dental hospitals and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성과와 개선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 자폐성장애인의 특별한 재능을 반영한 강점 기반 교육지원 모델 개발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분석 연구: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초한 교실차원 기능기반 팀중재(CW-FIT)가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