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elations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고경미 최은실 이선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404~42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어떤지 살펴보고, 그 관계는 어떠하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낙관적 태도, 자신감, 물질적 지지의 순서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보육환경 조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tre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lucidate how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 rating scale was utilized to evaluate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21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ll above the normal level. Second, child care teachers’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meaningfully high positive correlation. Third, optimistic attitude, self-confidence, and material support contribute to enhanc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at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child care environments which increase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