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장대련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68~99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historical and literary values and to re-discover the meanings of main characters or factors implied in the picture book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written by Helen Bannerman in 1899, has remained on the shelves of libraries for more than 100 years as a classic of literature, but simultaneously has been criticized because of the stereotypes or racism implied in the book. On the other hand, 4 main factors or characters of the story are illuminated, such as the name of the main characters like ‘Sambo, Mumbo, and Jumbo’, Color ‘black’ of African people’s skin, a ‘little’ child represented as a problem solver, and ‘tigers’ as very important antagonists in the story. In conclusion, although the picture book「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could be interpreted or criticized negatively by American historical background or multicultural education, we can discover the possibilities applying the book as a materi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by re-interpreting with positive views from Korean cultural context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1899년에 출판된 헬렌 배너만의 그림책 『꼬마 검둥이 삼보』가 지니는 아동문학으로서의 역사적 가치 및 작품에 나타난 주요 요소를 한국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난 100년간 아동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아온 『꼬마 검둥이 삼보』 그림책이 지니는 아동문학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돌아보는 한편, 주인공 흑인들에 대한 스테레오타입과 인종차별주의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위 그림책의 주요 요소 중 ‘삼보 Sambo’에서 연상되는 주인공‘이름’, 삼보 가족의 검은 피부색, “꼬마” 삼보로 대표되는 ‘아동’의 위상, 그리고 이야기를 주도하는 또 하나의 등장인물 ‘호랑이’의 입지를 한국적 관점에서 재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 역사를 반영한 다문화 교육적 관점에서는 『꼬마 검둥이 삼보』가 부정적으로 해석되고 평가될 여지가 있으나, 한국 문화적 맥락에서 이를 전향적으로 재해석한다면 긍정적인 측면에서 다문화 교육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as a classic
Ⅲ. Little Black Sambo as a model of the Stereotype and Racism
Ⅳ. Characters of「Little Black Sambo」in Korean cultural contexts
Ⅴ. Conclusion: a step for children’s literature of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