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Experiences in Movement Classes on the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d Question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357~3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수업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교사 발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은 반성적 사고 수준을 향상시키며, 반성적 사고 수준의 향상은 동작수업에 대한 반성 내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교사는 연구가 진행되는 초기의 동작수업에서는 확인적 발문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연구가 진행되는 후기에 이루어진 동작수업에서는 요구적 발문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동작수업의 과정에서 이루어진 반성적 사고 경험이 교사의 발문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의 발문변화를 위해 반성적 사고 경험이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경험을 적용한 교수실행을 통해 동작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changes of kindergarten teachers'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d questioning with continuous experiences of reflective thinking in movement classes. The results were; First, the levels of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changed through increased reflective thinking. At the low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ainly focused on activity materials and getting children's attention. At the middle level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for movement expression with children's interest were the focus while at the high level the focus was extended movement activity and teachers' verbal expression. Second, teachers' questio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was positively changed. Repetition of reflective questioning led to using specific and clear questioning as well as age-appropriate questioning. This shows teachers moved from teacher-centered to child-centered questioning through reflective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