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이용수 0
- 영문명
- Foreigners in Korean Children’s Picturebooks Analyz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그림책 작가들이 외국인을 어떻게 표현하며 이를 접한 유아교사들은 독자로서 어떤 인상과 메시지를 받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 그림책은 현재 서울시와 수도권 지역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30곳에 비치되어 있는 국내 그림책 27권이다. 위 그림책을 추천한 30명의 유아교사가 참여자가 되어 그림과 글을 통해 외국인이 묘사된 방법을 살펴보고 자신이 받은 인상과 메시지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참여자들은 아동문학 작품분석과 그림책의 표현 기법에 대해 2차례사전 훈련을 받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등장 그림책은 대부분 이야기 그림책이었으며,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외국인은 주요 인물로 독자와 대등한 시각에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등장 배경으로 외국인은 각국의 자연적· 문화적 상징물을 동반했다. 참여자들은 외국인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느낌을 받았으며, 외국과 타문화에 대한 정보와 흥미, 섞여 사는 사회로의 인식 및 교류, 외국인에 대한 동류의식, 이민자와 다문화 배경 가족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을 감지하였다. 다문화교육과 이미지학의 적용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study was to investigate images of foreigners in Korean children’s picturebooks.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features and messages of foreigners, symbols they carried, and modality of pictorial texts of 27 picturebooks chosen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care givers of nurseries in the capital area in South Korea. The teachers were currently enrolled in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 in which there were one-term sess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participated in the analyses in this study, not only choosing target books but also data collection. It was found that most Korean picture books about foreigners were a story-picturebook type. Foreigners were often main characters and the first speakers in the stories. Introducing their own culture was the most common role of foreigners, wearing traditional clothing and eating traditional food. Nationalities of the foreign characters varied across continents. The modality of foreign images was realistic in nearly all the books. In general, the participants got positive feelings towards foreigners in the picturebooks. Implications were made on imagolog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training and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