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Ethnographic Study of the Infants at Little Star Day Care During Nap Time with Folk Lullab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한동옥 최윤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46~174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들이 전래 자장가를 듣고 잠을 잘 때 나타나는 양상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 어린이집의 만 1~2세 영아 6명이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나타내는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영아들의 시각에서 문화적으로 해석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들은 전래 자장가를 듣고 잠드는 과정에서 친숙하게 반겨듣기, 몸짓으로 리듬 타기, 잠 가장놀이 행동을 나타내었고, 이는 본능적으로 잠 놀이를 즐기는 문화예술 경험의 의미가 있다. 둘째, 교사가 전래 자장가 음원을 들려주면서 토닥거리고, 따라 읊조리고, 개별 영아의 잠 습관을 살필 때 영아들은 스르르 잠이 들었다. 셋째, 영아들은 전래 자장가 사설의 낱말과 이야기에 일상생활 경험을 연결하여 문화적으로 친숙함과 공감을 느꼈다. 넷째, 전래 자장가 듣고 잠들기는 영아들에게 가족 간 사랑을 경험하고 소통하는 문화적 상징의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 전래 자장가 듣고 잠들기는 영아의 전인 발달에 통합적이면서도 상징적인 문화예술 경험의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features that the infants represent when they listen to folk lullabies during their naps. In order to do this, ethnographic study method which described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 that 6 one to two year olds of a home-based center showed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with peers and teachers and culturally interpret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fants was applied. As a res lt, first, the infants showed favor to listening to folk lullabies, making rhythmical gestures to them, and sleep pretending actions, which mean cultural art experiences of enjoying sleep play by nature. Second, the infants fell asleep smoothly when the teachers patted them while playing folk lullabies, sang along, and checked on their sleep behavior. Third, the infants felt a familiarity and empathy culturally connecting their daily experiences to the words and stories of folk lullabies. Last, sleeping with folk lullabies has a cultural, symbolic meaning of experiencing love and communicating among family members. In conclusion, sleeping with folk lullabies has the integrated and symbolic meaning of cultural art experiences to the infants'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