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Analysis on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Story Making Activities after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유구종 전미향 최승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22~252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화를 서로 다른 표현활동과 연계하였을 때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사례를 통해 개별 유아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되었으며, 명화감상 후 세가지 유형의 확장활동(명화감상 후 이야기 만들기,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인 표현활동 후 이야기 만들기,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인 디지털 기록화활동 후 이야기 만들기)을 각각 4주씩 실시하였다. 단일대상 사례별 변화양상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대상 유아 15명 중 자유선택활동시간 언어영역에서 이야기 만들기 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한 유아 3명을 대상으로 단일 사례별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명화감상 후 확장활동 유형에 따라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발 달수준이 상향되는 변화양상이 나타났다. 명화감상 후 이야기 만들기인 유형A보다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 중 표현활동 후 이야기 만들기인 유형B에서 연구대상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발달 수준이 높게 측정되었고,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 중 디지털 기록화활동 후 이야기 만들기인 유형C에서 유형B보다 높은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발달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단일대상 분석결과 명화감상 후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기 전 표현활동과 이를 기록하고 재방문하는 확장활동이 전반적으로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 weeks on 15 five-year-old children. Three types of extended activities after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were done for four weeks each. In order to examine how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 changes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extended activities and also how each subject changes as a separate case, this author selects three children participating in story making activity the most in the area of language during free choice activity among the 15 subjects and investigates how each case changes. According to the findings, first, after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children indicate improvement in their ficti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extended activities. The subjects’ level of ficti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 is measured to be higher in Type B, story making after doing expressive activity which is an extended activity connected to masterpieces, than in Type A, story making after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Also their level of fictional narrative structure development is higher in Type C, story making after doing digital documentation activity which is an extended activity connected to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than in Type B. Secon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single subject analysis, both an expressive activity before doing story making after masterpieces art appreciation and extended activity to record it and revisit exert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 development in genera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구종,전미향,최승연. (2015).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 (3), 222-252

MLA

유구종,전미향,최승연.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2015): 222-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