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ison of Play Activities from the Nuri for Age 5 and from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334~356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연계성 있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 중 놀이가 나타난 504개 활동과 2009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활동중 놀이가 나타난 185개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생활주제, 누리과정 내용영역 및 초등학교 1학년 교과, Frost & Klein(1979)의 인지적 놀이, Howes & Matheson(1992)의 사회적 놀이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제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5세 누리과정 504개(100%),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116개(62.7%)로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은 ‘생활도구’ 주제가 60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통기관’은 36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가을과 겨울’이 16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가 11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내용영역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사회관계 영역이,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교과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즐거운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놀이는 5세 누리과정에서는 기능놀이가,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구성놀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동일하게 상징놀이가 가장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놀이 분포는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동일하게 단순 사회놀이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structional manuals for teachers. We compared 504 play activities from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and 185 play activities from the 2009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The play activities from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mes, teacher's guide books contents, cognitive forms of play by Frost & Klein (1979), and social forms of play by Howes & Matheson (1992).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to be a large var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activities related to play between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74.0% of play activities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22.5% of play activities. Second, the Nuri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highest number of play activities in social relations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play activities in con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Third, the most common type of cognitive play in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was function play,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it was configuration play. Fourth, in both Nuri and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simple social pla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ocial play.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parallel social play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cooperative social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