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
- 영문명
- Effects of Picture Book-reading Related to Happiness o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278~304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6명으로 실험집단은 20명, 통제집단은 16명으로 구성되었다. 행복과 관련된 선행 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유아 행복의 하위요소 8가지를 추출하였고, 유아 행복의 하위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행복 관련 그림책 16권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후 확장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생활 주제별 그림책 읽기 후 확장 활동을 실시하였다. 행복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시사하며, 유아 교육 현장에서 유아 행복의 하위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그림책 읽기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icture-book-reading related to the happiness o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thirty six 5-year-old children, and divided into an experimental(20 children) and a control(16 children) groups. Eight components of happiness were extracted from prior studie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n 16 picture books were selected which were based on the selected componen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hared picture book reading and post-reading activities on happiness, and the control group read picture books related to themes based on Nuri curriculum and participated in post-reading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reading picture books about happiness and participating in extended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happin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picture book reading is a useful instructional method for enhancing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concludes that storybook-reading activities about happines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