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ers' Role of Day Care Teachers' Recognition: Focused o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예린 김근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6권 제3호, 120~145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 묘사된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보이며 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가 등장한 그림책 8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보육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질적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그림책에 묘사된 교사역할 특징은 정서적 교류하기, 배움의 즐거움 제공하기, 함께 놀아주기, 있는 그대로 인정하기, 긍정적 태도 가지기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자기반성을 통해 본 교사역할은 공감.인정.존중하기, 긍정적 상호작용하기, 선입견 깨기, 좋은 모델링 되어주기, 바람직한 훈육하기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은 교사로 하여금 자신의 역할을 반성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며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vestigate the role and the meaning of teachers in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8 picture books in which teachers are depicted. In addi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day care center’ teacher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participants' journals.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eachers’ roles in picture books are revealed an emotional interaction, offering pleasures of learning, playing together, recognizing as it is, and having positive attitudes. Secondly, the meaning of teachers’ roles revealed sympathy⋅recognition⋅respect, positive interaction, breaking prejudice, a good modeling, and positive disciplin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ing through picture books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teachers' reflection.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집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미술활동 분석
-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 만 1세 신입영아교사의 어려움 탐색
- 매체적 관점에서 텍스트의 변환 양상 및 의의 고찰 - <오늘이> 텍스트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어린이집 만 2세반 담임교사의 그림책 읽기과정에 대한 요구와 지원에 따른 변화
- 「혹부리영감」의 이데올로기적 활용양상 연구 -일제강점기와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컴퓨터 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경로 분석
-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 봉사학습의 유아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가 본 그림책 속 외국인
-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역할 : 그림책 읽기를 중심으로
- 작은별 어린이집 영아들의 전래 자장가 듣고 낮잠 들기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친구들에게 들려주는 '무서운 이야기' : 만 5세 유아들의 상상적 내러티브 탐색
- Re-reading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 명화감상 후 이야기 표현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발달 분석
- 영아와 유아의 언어교육 연구동향 비교분석 -2002년∼2014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동작수업의 반성적 사고 경험이 유치원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
-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 예비유아교사의 팀 학습 활동의 어려움과 해결방안 모색
-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행복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3세반 유아가 이해한 존 버닝햄 그림책 속 성인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