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Lim, Suji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55~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the use of generative AI and 3D simulation tools (e.g., ChatGPT, Look AI, Stable Diffusion, CLO 3D) in fashion education influences learners' planning competence, project satisfaction, and future intentions to use such too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fashion design students enrolled in a project-based planning course. Data were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m-based collaboration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tool adoption and satisfaction, while digital learning readiness showed a positive tendency but was not consistently significant across all analyses. Technical barriers and difficulties in idea exploration negatively affected outcomes. Notably, prior exposure to digital tools enhanced current use but reduced future usage intentions, suggesting possible fatigue or barriers stemming from past experiences. All three hypotheses were generally supported, (All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H1: higher levels of prior experience with digital planning tools significantly influenced proficiency in applying these tools within projects; H2: such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future intention to adopt the tools; H3: such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course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tool experi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digital tool usage, future inten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AM in digital fashion educat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rinsic motivation, collaborative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upport in fostering effective adoption of digital planning tool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패션 교육에서 생성형 AI 및 3D 시뮬레이션 도구(예: ChatGPT, Look AI, Stable Diffusion, CLO 3D)의 활용이 학습자의 기획 역량, 수업 만족도, 향후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수용모형(TAM)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패션 디자인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기획 기반 수업에서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성분분석(PCA)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학습 준비도와 팀 기반 협업 경험은 도구 활용과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반대로 기술적 장벽과 아이디어 탐색의 어려움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사전 도구 경험은 현재 활용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향후 활용 의도에는 부정적으로 나타나, 기존 경험이 피로감이나 기술적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세 가지 가설(H1-H3: 디지털 도구 경험이 프로젝트 활용, 향후 의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은 전반적으로 지지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TAM이 디지털 패션 교육 맥락에서도 유효함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내적 동기, 협업 기반 학습, 창의적 문제 해결 지원이 디지털 도구의 효과적 수용과 교육 성과 제고에 핵심적임을 보여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im, Sujin. (2025).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 (3), 55-67

MLA

Lim, Sujin.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3(2025): 55-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