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저자명
Lim, Sujin
간행물 정보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191~20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ultural differences in material perception and sensory respons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iming to enhance textile education in multicultural contexts. A survey of 31 fashion-related undergraduates in Seoul measured experiences, information use, emotional responses,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s. Results showed Korean students were more familiar with textile abbreviations, valued offline experiences, and preferred natural fabrics such as linen, reflecting self-expressive orientations. In contrast, Chinese students relied more on digital sources, emphasized marketability and ease of management, and showed less change after offline market visits. These differences illustrate how cultural background shapes material literacy, evaluation methods, and consumption valu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ultural sensitivity, experiential learning, and reflective activities into textile education. Despite limitations in sample size and reliance on self-reported data,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curricula that address diverse cultural perspectives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with broader samples and digital learning tool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소재 인식과 감각적 반응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차이를 분석하여 다문화적 맥락에서의 섬유 교육 개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패션 관련 전공 학부생 31명(한국 15명, 중국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험, 정보 활용, 감성 반응, 문화적 해석 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학생들은 섬유 약어에 더 익숙하고 오프라인 경험을 중시하며, 린넨과 같은 천연 섬유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자기표현적 성향을 반영하였다. 반면, 중국 학생들은 디지털 정보원에 더 의존하고, 시장성 및 관리 용이성을 강조하였 으며, 오프라인 소재 시장 방문 이후에도 인식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문화적 배경이 소재 리터러시, 평가방식, 소비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섬유 교육 과정에 문화적감수성, 체험학습, 성찰 활동을 통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표본 수의 한계와 자기보고식 자료에 의존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화적 관점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향후 더 큰 표본과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Implications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im, Sujin. (2025).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 (3), 191-202

MLA

Lim, Sujin.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7.3(2025): 191-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