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Relevance of Elementary⋅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c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Adap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유진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3호, 177~18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생태⋅기후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습자의 역량을 함양하는데 개정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2023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가정과 특성을 고려하여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의 가정과 교육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후 변화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2023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의 분석 틀을 기준으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 지향 교수학습의 내용 체계 및 수업 절차와 가정과 성취 기준 간에 높은 관련성이 있었으며, 특히 지식에 해당하는 기후 변화 현상이나 원인보다는 우리 생활에서의 영향, 감수성과 관련된 내용이 더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응과 완화에 해당하는 기후 행동 관련하여 가정 교과에서는 주로 ‘생활환경과 지속 가능한 선택’ 영역을 중심으로 개인적 사회적 실천에 해당하는 내용에 더 집중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기후 변화 대응 교육 내용을 개발하거나 가정과 수업에 적용할 때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체계화를 위해 이바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ioritizes cultivating learners' competencies to respond to ecological and climate environmental changes. In 2023,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nducted research on applying ac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irectio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subject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irst, it analyzed prior research on climate change, constructed an analytical framework centered on the 2023 KICE study, and then analyzed the relevance of the 2022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based on this framework. The results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AcTForCCE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esponse and the Home Economics achievement standards. Furthermore, regarding climate actions including ‘adaptation’ and ‘mitigatio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primarily focused on content pertaining to personal and social practices, centered around th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 content domain. This study is useful in providing guidelines for developing future climate change response education content or applying it to home economics classes, and it can contribute to systematizing home economics teaching and learning for climate change respons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탐색
Ⅲ. 가정과 관련성 분석을 위한 AcTForCCE 모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Ⅳ. 기후 변화 대응 교육과 가정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Ⅴ. 결론 및 제언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2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서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고등학생의 부모-자녀 관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직업경험의 매개효과: 성별간 차이분석
- 메이커톤을 활용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 디자인씽킹 기반 고등학교 가정과 생태전환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교수요목기 「중등 가사교본」의 가정교육학적 함의
- 가정과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고등학교 가정과의 역량 기반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중등 교과서 한국 전통복식문화 교육의 재현 방식 변화: 텍스트와 시각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