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Difficulties and Demands of Parents at a Child-care Center Concerning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송유진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413~4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를 학부모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어봄으로써 부모들을 이해하는 폭을 넓히고 그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질 높은 부모-교사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A광역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학부모 13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012년 8월 6일부터 2012년 10월 24일까지 약 12주 동안 심층 개별 면담, 집단 면담, e-mail과 전화 면담, 연구자 저널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첫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린이집 학부모의 어려움은 우이독경(牛耳讀經)-아무리 말을 하여도 헛수고, 벙어리 냉가슴 앓기-하고 싶은 말 참아내기, 반신반의(半信半疑)-무너지는 신뢰감, 쌓여가는 불신감, 울며 겨자 먹기-마음에 안 들어도 계속 보낼 수밖에 없는 현실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학부모들의 요구는 교사의 외견적 자기관리, 교사의 정확한 유아 파악과 민감성, 교사의 부모를 향한 마음 읽음과 배려, 교사의 전문적인 상담능력 함양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arents of child-care center by hearing about their difficulties and demands corning their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o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total 13 parents of child-care center living in A Cit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for 12 weeks from August to October 2012. In-depth personal interviews, group interviews,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carried and the researcher's diar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parents felt difficulty such as 'pouring water on a duck's back' because teachers did not understand what they said; 'suffering in silence' because parents had to suppress their desire to complain; ‘half in doubt’ because of collapsing confidence and accumulating distrust; and ‘biting the bullet' because they had no choice but to send their children to those nurseries. Second, parents' demands of the teachers were: teachers' self-management of appearance, teachers’ accurate understanding of and sensitivity to children, teachers’ understanding and care for parents. and building professional counseling capacity of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 간 갈등양상
-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기반 스토리텔링 수업모형 개발 : 멀티미디어 창작동화 수업을 중심으로
- 유아 스마트그림책 제작∙활용 방안 모색연구
-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영유아언어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국내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 그림책중심 아동문학 수업과정에서 도출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 이원수의『잔디숲 속의 이쁜이』에 관한 비교문학적 소고
-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 분석
-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