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Children's Moral Judgement Suggested in their Response to Tomi Ungerer's Picture Book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전연우 조희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257~2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그림책을 가지고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들이 그림책의 텍스트를 보고 도덕적 판단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1년 7월 12일부터 8월 31일까지 8주간 1주일에 1회씩 8주간 총 32회에 걸쳐 오전이나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 결과 만 3세 유아들은 그림 텍스트로만 판단하기, 결과만 보고 도덕성 읽기, 즉흥적으로 판단하기 등으로 나타나 ‘가시적인 것에 좌우되는 도덕적 판단’으로 유목화하였고, 만 4세 유아들은 생활세계의 경험과 연관짓기, 즉흥적으로 판단하기와 맥락에 따라 판단하기, 남들 생각 따라가기와 내 생각대로 말하기, 외형보고 판단하기와 내면보고 판단하기, 가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판단하기 등으로 나타나 ‘도덕적 판단의 혼재’로 유목화하였으며, 만 5세 유아들은 선악 판단에 있어서 강약 내리기, 전후 맥락을 바탕으로 유추하여 판단하기, 등장인물에 비유하여 자기 양심 읽기, 조망수용능력을 통해 도덕성 관념 확장하기, 인지능력 확대에 따라 다각적으로 사고하기 등으로 나타나 ‘도덕적 판단기준 확립’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들의 도덕성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성이 담긴 그림책의 가치를 드러내주어, 교사와 부모들뿐만 아니라 그림책 종사자들에게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 aged 3 to 5 make moral judgments as they experience the texts of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those children during extracurricular session in the morning or afternoon over 32 times during 8 weeks from July 12-August 31, 2011 once a week for each kindergarten. The study found that how the three-year-olds perceive morality could be categorized into determining only with picture texts since they were judging only from results and judging impromptu: the four-year-olds into associating with life-world experiences since they were judging both impromptu and contextually, following others' thoughts and expressing self-thoughts, judging based on both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and judging on the interface between reality and non-reality, and the five-year-olds into determining the severity of the good or bad since they were inducing with contexts considered, identifying self-conscience against characters, expanding morality by using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thinking in multiple ways through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young children in terms of morality, clarify how much picture books in relation to morality are valuable and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to teachers, parents and even picture book publis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연우,조희숙. (2012).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 (3), 257-284

MLA

전연우,조희숙.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2012): 257-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