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이용수 3
- 영문명
- The Meaning of Moral Eduction for Children in Emil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구수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397~41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루소는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통해 ‘자연인’을 실현시키는 방법을 연구한 교육개혁론자로 평가된다. 루소의 교육목적은 ‘자연인의 형성’에 있으며, 자연인이란 인간에게 부여한 본성, 즉 자연성을 소유한 존재로서, 이러한 자연성 회복을 위해 택한 교육방법이 자연에 따르는 자연주의 교육(naturalistic education)이다. 본 연구는 루소의 「에밀」에 나타난 자연주의 교육 사상이 갖는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라「에밀」에 나타난 자연주의 교육사상과 도덕론을 살펴보고, 자연주의 사상이 영유아 도덕교육에 갖는 의미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영유아기의 도덕교육은 감성을 통한 취향의 형성과, 둘째, 감각적 이성을 훈련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셋째, 이성을 통한 절대적 도덕기준의 적용보다는 소극적 교육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이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절대적 가치의 도덕 옹호와 배려, 양보와 같은 이성적 올바름의 미덕이 강조되기 보다는, 도덕적 행동이 영유아에게 ‘좋은 감성’을 갖게 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영유아 교육현장에서는 영유아의 도덕 발달의 특성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와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ousseau had revolutionary thoughts on education and in Emile. The meaning of 'natural man' was man who had natural instinct and Rousseau explicitly said that his educational ideal was to cultivate 'the natural 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aning of Rousseau's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his naturalism in Emile.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the naturalism in his educational thoughts and moral education was reappraised, and it's implication on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was explo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was cultivated by sentiment to form good inclination by training sensible reason, and should be practiced by negative education.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 should not emphasize absolute values, caring for others and concession but should seek to raise good sentiment for others by practicing moral activities. So,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 children's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루소의 자연교육과 도덕론
Ⅲ. 루소의 영유아 도덕교육
Ⅳ.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 간 갈등양상
-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기반 스토리텔링 수업모형 개발 : 멀티미디어 창작동화 수업을 중심으로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 그림책중심 아동문학 수업과정에서 도출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 분석
-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유아 스마트그림책 제작∙활용 방안 모색연구
-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영유아언어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국내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이원수의『잔디숲 속의 이쁜이』에 관한 비교문학적 소고
-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