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Literature Review Study of Early Childhood Design Education Using a Media Literacy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이종길 정지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355~37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표현위주 미술활동의 한계점을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을 통해 개선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유아미술교육, 유아디자인교육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 4가지를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하였다. 그 결과 유아 디자인 교육은 5세 누리과정의 목표인 ‘창의․인성교육’과 ‘통합교육과정’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현위주의 유아미술교육의 문제점을 유아 표현이 실생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용성’, 구체적 적용에 따른 논리적 사고 향상을 위한 ‘과학 기술의 응용’,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성’을 둔 유아 디자인 교육을 해결안으로 제시하였다. 유아의 특성을 고려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의 문헌고찰을 통한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유치원 교육과정과 Bumette의 창의성 개발 디자인 프로세서 'I/DEPPE/I'모델을 기초하여 유아 디자인 교육의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은 유아교육현장 미술활동의 문제점을 개선 해 낼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유아교육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expression-oriented art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a media literacy approach. To do this, literature about the Nuri curriculum of kindergarten education, preschool art education, and preschool design education was reviewed, focusing on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s a result,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eschool design education corresponded to the goals of kindergarten education -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nd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s of expression-oriented art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improved in a way of interpreting the products from 'usability', 'applic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aesthetics' in desig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values and signification. Furthermore, us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study has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 through a media literacy approach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n the approaches to the preschool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and 'I / DEPPE / I' model which was Burnett's creative development design processor. The preschool design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approach sugges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art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used in the curriculum of preschooler education; and to be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목차

Ⅰ. 서론
Ⅱ. 디자인 교육의 개념과 유아기 디자인 교육의 의의
Ⅲ. 유치원 교육과정, 유아미술교육, 유아디자인 교육 간의 관계성
Ⅳ. 유아 디자인 교육 방법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
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 모델 탐색
Ⅵ.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길,정지현. (2012).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 (3), 355-378

MLA

이종길,정지현.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2012): 355-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