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f Social Play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ccording to the Reflective Clinical Supervision of Teachers in Inclusive Kindergarten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백경순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589~60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놀이 교수실제에 대한 반성적 임상장학을 실시하여 서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 교사는 통합교육을 담당하 고 있는 유아교육전공자 교사로 하였으며, 교사들이 담당한 특수유아의 장애유형은 다운증후군, 정 신지체, 자폐아이었다. 반성적 임상장학의 단계는 사전협의회, 수업관찰 및 녹화, 반성적 사고, 사후 협의회로 이루어졌고, 장학내용인 놀이시도 및 참여시키기, 놀이이해 및 방법 제시하기, 일반유아 놀 이상대자 만들기, 개별화 놀이계획을 중심으로 장학을 실시하여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장학의 초기단계에서 교사들은 특수유아의 놀이에 무관심하였으나 장학이 진행되면서 일반유아와 특수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려는 다양한 교수실제를 보였다. 따라서 방관 또는 이 탈하는 행동은 감소하고 단독놀이에서 병행놀이나 집단놀이를 경험하게 되었으며, 놀이를 방해하거 나 놀이가 단절되는 부정적인 행동은 감소하였고, 놀이상호작용의 긍정적인 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ocial play o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 reflective clinical supervision over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of teachers in inclusive kindergartens. The subjects wer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e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f the child had Down Syndrome, child had Physical Disability, and child had Mentally Retarded child. The phases of reflective clinical supervision consisted of a pre-conference, observation/recording, reflective thinking, and a post-conference. The contents include initial play and participation, understanding and presentation of play, making partners between typic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ndividual play plans. All the conten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of social play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f changes in the levels of play. With the support of their teacher, special needs children were able to develop solitary play into a parallel play and group play. The Penn Interaction Peer Play decreased negative outcomes such as the disruption and disconnection of play, and enhanced positive dimensions of play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경순. (2012).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 (3), 589-607

MLA

백경순.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3(2012): 589-6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