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이용수 8
- 영문명
- The Meaning of Sensory Education: A Historical Study of Educational Thought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연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523~5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교육에서의 감각교육은 역사적으로나 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에서 감각에 대한 강조가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해 탐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아감각교육은 지식의 원천이다. 감각적 경험이야말로 인간이 세상과 소통하고 무엇인가를 배우고 깨닫게 해주는 중요한 원천이다. 둘째, 유아감각교육은 표현활동의 기초를 마련해준다. 어린시기에 풍부한 감각적 경험을 하는 것은 이후의 표현 활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유아감각교육은 다양한 경험으로 확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감각적 경험의 내용을 ‘아름다움’으로 제한하지 않고 ‘추’에 대한 탐색으로 확장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넷째. 유아감각교육에서는 유의미한 경험의 누적을 강조해야한다. 감각적 변별훈련도 중요하지만 각각의 감각적 경험이 유아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가치를 부여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유아감각교육에서는 공감각적 경험을 강조해야한다. 서로 다른 차원의 감각적 정보에 대한 종합, 분석과정을 통해서 사물과 현상에 대해 풍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영문 초록
Historically and philosophically, sensory education has had very important meaning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s of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rovides sources of knowledge. Second,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romotes expressive activities. Third,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extended unlimited experiences.. Fourth,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focused on accumulation of meaningful experiences Fifth, sen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emphasizes synesthesia experien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고찰
Ⅲ. 나가며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 간 갈등양상
-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기반 스토리텔링 수업모형 개발 : 멀티미디어 창작동화 수업을 중심으로
- 유아 스마트그림책 제작∙활용 방안 모색연구
-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영유아언어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국내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 그림책중심 아동문학 수업과정에서 도출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 이원수의『잔디숲 속의 이쁜이』에 관한 비교문학적 소고
-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 분석
-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