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Meaning of Simulated Instruc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조희정 이대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563~5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4년간 모의수업을 통해 느낀 심정을 저널쓰기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하는 모의수업의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여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모의수업을 진행하는 대학 교수자의 수업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학생 28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실시되었는데 연구 결과, 학생들은 유아교육전공교과와 관련된 다양한 모의수업을 통해 모의수업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의 현장실습을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모의수업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실천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금까지 해 왔던 수업의 형태보다 더 철저한 준비와 현장성에 맞는 수업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공감하고 요구하였다. 그러나 모의수업의 진행방법이나 운영 측면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수업할 수 없는 현실적 조건들과 수업의 집중, 수업계획의 어려움 등은 모의수업에서 극복해야 할 문제점이자 어려운 점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모의수업에 대한 갈등적 심정 속에서도 예비유아교사로서 학생들은 두 번의 현장실습을 통해 느낀 점을 토대로 현장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모의수업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ive some suggestions to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simulated instruc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reflective journa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feelings during the four years of simulated instruc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8 early childhood education senior college students from the Class of 2011 at a 4-year university in A city. The study found the formation of a twofold attitude for stud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lessons through a variety of simulated instruction. Through fieldwork,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recognized that a simulated instruction is an indispensable and important practice course for actual lesson progres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has been empathized and in demand for providing more thorough preparation and appropriate lessons than classes until now. But some difficulties that need to be overcome in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are: trouble focusing in class, difficulty of creating an instruction plan or realistic conditions in which to teach young children. Despite these conflicts, studen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resented in the fieldwork that there is a need for simulated instruction to fit into the sce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에 나타난 등장인물 간 갈등양상
-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유아의 도덕적 판단 연구
- 통합교육 교사의 반성적 임상장학에 따른 특수유아의 사회적 놀이의 변화과정
- 영아 및 부모 특성과 12개월 영아의 발달적 특성 관계 연구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기반 스토리텔링 수업모형 개발 : 멀티미디어 창작동화 수업을 중심으로
- 유아 스마트그림책 제작∙활용 방안 모색연구
- 인지행동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수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감각교육의 의미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 영유아언어교육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국내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그림책에 대한 영·유아의 반응 연구 경향 분석 - 199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 그림책중심 아동문학 수업과정에서 도출된 예비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 어린이 그림책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 이원수의『잔디숲 속의 이쁜이』에 관한 비교문학적 소고
-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 분석
- 행복론의 관점에서 본 그림책 연구
-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 분석: 형상과 인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접근을 활용한 유아 디자인 교육에 대한 기초연구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유아 정서지능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 어린이집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
-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및 관련 변인
- 유치원-가정연계 언어활동이 부모의 언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 모의수업의 의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