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이용수 1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Demotiva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Change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선 김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415~44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교사의 영어교육 정책의 인식과 적용을 중심으로 영어교사
의 교수 탈동기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1990년대부터 2017년 현재까지
각 정권에서 시행된 영어교육 정책 변화의 흐름을 요약하였다. 주요 교육 정책과 교사에 대
한 영향에 관해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영어교사
의 교수 탈동기 요소가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근거이론적 접근법으로 탐구하였다. 연
구 결과 참여 교사 동기와 탈동기는 동료 교사와의 관계 및 교직 환경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다양한 교직 대·내외적 인적, 물리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교사들은 정책 수립 및
행정에서 소외감을 느껴 정부 주도의 교육정책에 무관심하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참여 교사들은 영어교육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책 입안자
들의 교육 현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통해 교육 개혁을 구체화 해나갈 수 있는 지속
성을 담보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
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영어교육 정책은 보다 많은 교사의 의견수렴과 참여의 독려로 교육현
실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정책에 관한 교사의 관심과 인식을 강화하여 정책 제공자
와 사용자 간의 간극을 좁혀야 한다. 둘째, 정책의 교육적 가치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
책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평가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eacher’s demotivation as a policy
implementer based on their recognition of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eachers’
recognition and their subsequent adoption of English education policies can function
as an important guideline for facilitating changes in classroom instruction on a daily
basis. This paper summarized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y changes initiated and
implemented in each regime from the 1990s to 2017.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1 in-servic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ducted regarding major English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participating teachers’ demotivation in teaching.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eacher
demotivation has complicated relations with the work environments such as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self-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demotivated by their sense of alienation in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and gradually formulated indifferent and/or negative attitudes toward
government-initiated English education policies.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ducation policy reflecting in-service English teachers’
voices and work experiences is the key element for achieving its intended educational
refor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