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이용수 69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Principal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수 장환영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261~28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국내 주요학술지에 게재된 학교장 리더십 관련 논문 88편을 선정하여 리더십 유형, 연구주제,
연구방법, 학교급의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 리
더십 유형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변혁적 리더십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그 다음으로
는 교장 리더십, 수업 리더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 리더십 연구주제는 리더십 효과
분석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리더십 이론 및 개념 탐색, 리더십 행동특성 분
석으로 순으로 연구되었다. 셋째, 학교장 리더십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방법이 절대 다수를 차
지할 만큼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학교장 리더십의 학교급에 따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교장 연구경향을 확인하고 시
사점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rincipal leadership in
Korea. The researchers chose and analyzed the 88 principal leadership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journals in Korea during recent 8 years(2010-2017) by leadership style,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level of school.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variety of leadership styles have been studied, among which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in the principal
leadership research; 2)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was the
theme to which were paid the most attention, and ‘the exploration of leadership theory and
concept’ and ‘leadership behavior analysis’ also received keen interests by researchers; 3) In
the research metho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in many cases; 4) In terms
of school types and level of school,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This study shows that the majority of principal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were highly weighted toward the effectiveness study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primary level using quantitative methods, thus suggests that the leadership issues of more
diverse and sensitive to educational context should be addressed in the futur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