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22
- 영문명
-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Mentoring Effects with Master Teachers and Its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주희 홍원표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207~2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석교사와 멘토링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이 인식하
는 멘토링 효과가 그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석교사 멘토링 제도
의 효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공
립 초등학교에서 수석교사 멘토링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초임교사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와 면담 조사를 주요 연구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초임교사는 수석교사 멘토링 효과에 대체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대일 멘토링이 진행될 때 그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
석교사 멘토링의 경험이 있는 초임교사들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특
히 일대일 멘토링을 경험했을 때 높은 직무만족을 보였다. 셋째, 수석교사 멘토링에 대한 효
과 인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적절한 멘토링 지원을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
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임교사들의 교직적응을 위한 수석교사 멘토링 제도의 효과와 적절
한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 of mentoring effects with master
teachers and its relationship to their job satisfaction. To address this research question, a
mixed-method research was designed which makes use of quantitative survey data and
qualitative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in Seoul
who have been engaged in mentoring with master teachers.
Main findings reveal that, first,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being engaged in mentoring with master teachers. In particular, they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perceptions when mentoring was conducted in one-to-one context. Second,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mentoring led by master teachers
demonstrated a higher degree of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with a higher level of positive perceptions of mentoring experiences with master teachers
showed a higher degree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es the
effects of mentoring services led by master teachers for beginning teachers, proposing idea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ntoring in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