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이용수  391

영문명
The emergent process of a principal’s leadership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welfare: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model of Teacher Agen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이성회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233~2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은 사립 특성화고인 희성고(가명)의 교육복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 변화의 과정에서 학교장이 지난 10여 년간 어 떻게 교사행위자성을 발현하여 왔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 행위자성 개념모델(Priestly, et al., 2015)에 한국의 실증적 데이터를 적용하여, 해당 이론의 국 내 교사에의 적용가능성과 한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 학교관찰, 문헌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틀로는 교육복지공동체로서의 학교의 요건(김인희, 2011)과 교사 행위자성 개념모델(Priestly, et al., 2015)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희성고는 교육복지공동체 로서 학교의 6가지 요건(김인희, 2011)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지난 10여 년간 희 성고의 학교장은 여러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과거), 계속해서 진화하는 ‘좋은 교육’에 대한 도덕적 가치와 목표에 동기를 부여받아(미래), 학생들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학교 구조와 문화, 물리적 환경(맥락)을 조성하는 과정(현재) 가운데에서 교사행위자 성을 성취하였다(Priestly, et al., 2015: 141). 이와 같이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은 학교장의 ‘능 력’에 더하여 ‘시간(과거-현재-미래)’과 ‘맥락(구조, 문화, 물리적 환경)’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 어,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학교 변화의 과정을 종단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 용한 설명틀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사 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의의와 한계, 추후 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welfare in Heesung high school, a private vocational higher school located in a socially disadvantaged area. Then, it investigated the emergent process of a principal’s achieving teacher agency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welfare for the last ten years. For this, in-depth interviews, school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For analytical frameworks, this paper used ‘the requisites for schools as educational welfare community’(Kim, 2011) and the conceptual model of ‘Teacher Agency(hereafter, TA)’(Priestly, et al., 2015). Analysis suggested that Heesung high school fulfilled the six requisites for schools as education welfare community. Meanwhile, the principal “achieved agency when she was able to choose between different options in any given situation and was able to judge which option is the most desirable, in the light of the wider purposes of the practice in and through which she acted”(Priestly, et al., 2015: 141). TA, in which the concepts of teachers’ capacities, contexts and time are embedded, proved to have a strong explanatory power in that it offered a comprehensive and longitudinal conceptual framework in understanding the principal’s process of realizing education welfare in the school. Lastly, the merits and limitation of TA and future research agenda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틀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회. (2018).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35 (1), 233-260

MLA

이성회.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35.1(2018): 233-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