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이용수 21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Safet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령 주현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29~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안전
교육 7대 표준안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D광역시 및 G도 소재의
공립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
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모든 영역 및 세부 항목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인식되었
다. 응급처치 영역은 높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나타나 우선적 지원이 필요하고, 직
업안전 영역은 타 영역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가 모두 낮게 나타나 장기적 개선이 요구되었
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은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영역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가장 높게 인
식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도출한 내실화 방안은 첫째, 직업안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교
사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실습 중심 연수를 강화하고 응급처치 실습 교육을 지원하기 위
한 예산을 추가 편성해야 한다. 둘째, 안전교육 실시 기준에서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영역과
응급처치 영역의 교육시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장기적인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 및 홍보가 실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content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y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5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all areas and sub-categories of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and importance was perceived
higher than performance. The first aid area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high importance
so that priority support was required. Regarding the occupational safety area,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lower than other areas. It implies that long-term
improvement was required.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the most.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infer the following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First, it needs to strengthen practical training to rais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and to prepare additional budget
to support the first aid training education. Second, it needs to extend teaching hours for the
violence prevention and personal protection area and the first aid area in the safety
education standard.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long-term awareness about categories with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And active guidance and publicity about the Seven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