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171
- 영문명
- Validation of a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형 장다솜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289~32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도성을 한 개인 지도자의 특성 구현이나 역량 발휘로 간주하는 전통적 지도성 연구는 학
교 조직의 다원화와 개방화에 따른 학교 대내·외의 복잡다기한 문제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
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진다. 최근 들어, 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전통적 지도성
에 대한 발전적 대안으로서 지도성을 개인 차원을 넘어서 “지도자들과 구성원들 및 이들을
둘러싼 상황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규정하는 분산적 지도성 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
구는 중등학교에서의 분산적 지도성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구성하고, 해당도구
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진단도구의 전체 신뢰도
는 0.968, 교사지도성, 학교장지도성, 학교상황의 세 영역별 신뢰도는 0.892-0.966으로 매우 적
절한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역별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도구의 최종 모형이 중등학교 분산적 지도성의 구성요인을 적절하게 진단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의 분산적 지도성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구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o do this, the former version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was revised through advises from
expert group, and then was composed as questionnaire using Likert scale 5 poin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430 teachers who work at 19 secondary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Using gathered questionnaire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was
verified and the sub factor of each fields were analyzed through EFA and CFA. In addition
to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teaching was
conducted to verifi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test.
The reliability of total items was 0.968 and 0.905~0.973 in detail. Thus, the reliability of
the test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each field of it can be evaluated as acceptable.
And as a result of EFA, Teacher leadership was divided into 4 sub factors and 16
questions, Principal leadership was 5 sub factors and 22 questions, and School situation was
3 sub factors and 17 questions.
As a consequences of examining the goodness of fit of the total mode this model was
appropriate and met the recommend criteria. And Construct Reliability were recorded from
0.878 to 0.949, so this test can be said having a convergent validity. Also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is higher than values of each variables, so this test can be said
having a discriminant valid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