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이용수  600

영문명
A Study of Innovation Tasks of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ccording to Educational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박영숙 허은정 황은희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165~1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서 변화가 불가피한 영역과 취약점을 진단하 고, 혁신 이슈에 대한 이론적 검토, 전문가 협의 및 관련 집단의 혁신 요구를 바탕으로 새롭 게 혁신해야 할 과제를 탐색하는 것이다. 현행 교원양성 교육과정은 내용적 체계성 부족, 낮 은 변화 대응력,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 미흡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 고 있다. 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교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교원양성 정책의 혁신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의 변화가 시급하다. 교육과정 개편 시 전문성 과 현장 적합성을 우선적으로 반영하고, 구체적인 혁신 과제로 교직적성 인성지도 프로그램 강화, 교수진 역량 개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교직 교과내용 및 교과교육 연계 등 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첫째, “교직적성 인성 지도 프로그램 강화”를 위해서는 ‘학년’ 및 ‘교원양성 교육과정’ 유형 에 따른 차별적 제공, 그리고 예비교사에 대한 종합적인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교 직, 교과내용 및 교과교육 연계 강화”를 위해서는 연구 기반 교수협의체 구성을 통한 혁신적 운영과 교원자격검정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셋째,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은 미래 교사 역량 연구, 연구 기반 교수 조직 구성, 교원양성기관 간 네트워크 구성, 복수 전공 의무화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넷째, “교수진 역량 개발 강화”를 위해서는 교수자들 간 학습공동체 활동 권장, 교수 역량 강화 노력에 대한 정성 평가 강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rea of unavoidable change and its weak point in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to explore new innovation tasks based theoretical review of innovation issues, experts consultation, and innovation demand of relevant group. Current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continuously faces such problems as insufficiency of content systemicity, poor response to change, and lack of professionalism as teacher training institute. According to questionnaire survey on education experts, innovation of teacher training policy is necessary to cope with change in teaching profession environment and among others, change of curriculum is urgently necessary. When reorganizing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eferentially reflect expertise and field adequacy, and also to focus on Strengthe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Program,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and Strengthen Linkage between Teaching Profession, Curriculum Contents and Curriculum Education as specific innovation tasks. First, for Strengthe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Program , it is required to have discriminatory provision as per type of grade and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s well as integrated system management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for Strengthen Linkage between Teaching Profession, Curriculum Contents and Curriculum Education , it is required to have innovative operation through organizing research-based professor consultative group and to make systematic supplement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Thir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is mainly composed of competency study of future teachers, organization of research-based professor group, network formation betwee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mandatory double major. Fourth, for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it is required to encourag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between faculties and to improve qualitative evaluation of strengthening of teaching competency.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교육 및 교사의 역할 변화
Ⅲ.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현황 및 혁신 이슈
Ⅳ. 교원양성 교육과정 혁신 요구 조사 분석
Ⅴ. 교원양성과정의 혁신 방향과 과제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숙,허은정,황은희. (2018).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5 (1), 165-188

MLA

박영숙,허은정,황은희.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5.1(2018): 165-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