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이용수 486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Case Studie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안영은 권내욱 권수완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135~1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를 통합적이고 맥락적으로 이
해하고자 사례연구들을 종합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8년부터 2017
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9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개별교사, 학년(군), 학교 수준에서 다양하게 나
타나고 있었으나, 시·도교육청 수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사례연구를 통해 드러나지 않
았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방법 중 어느 요소를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내용과 방법이 공통 최다였으며, 재구성이 일어나는 맥락
에 따라 재구성 정도의 양상이 다양했다. 셋째, 국내 초등학교 내 교육과정 재구성 유형을 귀
납적으로 분류한 결과, 크게 계획단계와 실행단계에서의 재구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계획
단계에서는 재구성의 목적 및 교사 간 협력유무에서 차이점이 드러났으며, 실행 단계에서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따라 나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맥락에서는
교사 간 협력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보다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과정 대강
화 정책을 유지하여 교사가 자율성을 발휘할 여지를 충분히 열어 두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Korea on integrative and contextual viewpoint.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conducted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9 case studies which were on elementary schools and had
published for last 10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first, various subjects were found
participating on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excep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focused on the
subject matter and teaching methods while variations occured due to the aim for the
re-construction; third, the practic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categorized as planned
or enacted st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mplies following proposal: to support
teacher collaboration, to maintain slimming National Curriculum, to activate discussion of
teacher identity and reflect the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