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이용수 130
- 영문명
-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eacher Sorting Mitigation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남기 박효원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간 초등교사 쏠림 완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인 전국의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그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지역에 따라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방안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벽지
근무수당은 금액에 상관없이 광역시에 근무하기를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50만 원
이상의 근무수당이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이어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 분
석하였다. 둘째, 인근 도 지역 통합 모집안의 경우 반대한다는 의견이 작은 차이로 앞섰다.
셋째, 인접 도 지역 의무 근무안 역시 전반적으로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살짝 앞섰다. 넷째,
현직교사 재응시 제한안은 찬성의 응답률이 근소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별로
응시지역을 제한하는 안에 대해서는 반대의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
들은 양성, 선발, 교직사회, 사회 환경 측면에서 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의 결과와 예비교사들
이 제안한 대안들을 토대로 초등교사 쏠림 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validity of mitigation methods on
teacher sorting based on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from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students and graduates of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cross Korea.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on five mitigation methods suggested by the study differed by
district and are shown as the following. First,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desire to teach in major cities regardless of incentives for remote area services. However,
500 thousand won or more of incentives for remote area services was chosen by a small
difference, suggesting that providing incentives for remote area services may be an effective
method to mitigate teacher sorting. Second, slightly more pre-service teachers were against of
combining the adjacent provincial areas with major cities for allowing applicants of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Third, pre-service teachers disagreed on serving obligational duties
to work in adjacent provincial areas. Fourth, pre-service teachers agreed on regulating
current teachers on retaking th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Fifth, most pre-service
teachers opposed to limiting the areas for taking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s to the
areas where their affiliated university is located. Lastly, suggestions by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eacher education, selection process, teaching
professions, and social environments. The study proposed mitigation methods on teacher
sorting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목차
I. 서론
II. 사태 출발의 역사적 배경 및 현황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