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이용수 230
-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 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강혜정 임은미 김순미 김지영 장강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1호, 83~11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경제적 계층, 성 정체성, 민족/인종 정체성, 연령/가족배
경, 장애/신체적 특징 등의 다양한 다문화 집단에 대한 강의, 사례제시, 토론, 성찰일지 공유
등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참여자들이 각 회기마다 제출한 성찰일지
를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의 경험은 인지경
험, 정서경험, 실천의지의 3개 영역과 7개 범주, 20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인지경
험 영역에는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살펴봄, 소수민/주류민 경험을 재해석함, 소수민 차별과
억압과정에 대해 이해함의 3개 범주, 정서경험 영역에는 불편함과 안타까움을 느낌, 즐겁고
관심이 생김의 2개 범주, 실천의지 영역에는 일상에서의 실천을 모색함, 현장에서의 실천을
모색함의 2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20개의 하위범주 중 참여자들이 가장 많이 응답한 하위범
주는 ‘나의 사고방식과 고정관념을 확인하였음’, ‘주변에서의 소수민 경험을 떠올림’, ‘소수민
차별/억압의 발생 원인과 심화 과정에 대해 알게 됨’, ‘우리 사회의 소수민 차별/억압의 현실
을 확인함’,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됨’, ‘차별과 고정관념에 민감한 교사가 되겠다
고 다짐함’ 등 6개였다. 이러한 경향이 다문화 하위집단별로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분석한 결
과 다문화 하위집단에 따라 참여자들의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에 주는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lecture, presenting reading and audiovisual materials, small group and full discussion,
reflection journal about learning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various multiculutral groups
such as economic class, sexual identity, ethnic/racial identity, chronological/developmental
challenge, family background, unique physical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20 pre-service
teachers self-reflection diaries submitted each session were analyzed by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hree domains of cognitive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act, seven categories and twenty subcategories. In the cognitive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hree categories of check thinking style and stereotyping , reinterpret
minority/majority experiences , and understand of minori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process , In emotional experience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feel discomfort and
sad and enjoyable and happen to interest . In willingness to act domain,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seeking practice in daily life and seeking practice in the field . In the overall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ere were 6 general(19~20 cases), 12 typical(10~18 cases), and 2
variable(5~9 cases) responses. Participant s experiences according to program the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subgroups treat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 간 교사 쏠림 완화 방안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안전교육의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 부산다행복학교의 성과 및 과제 연구: 교사 대상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어교육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사의 교수 탈동기 연구
-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신 이슈와 과제
- 우리나라 중등교원 양성과정의 변천과정 고찰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중등학교 분산적지도성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학교장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연수 참여가 학습자 중심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교사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치원 예비원장의 수업지도성 신념과 실제 분석
- 교과 독서 활동을 통한 예비 교사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탐색 - ‘독서 노트 쓰기’실행에 기초하여 -
- 미래사회 대비 ‘좋은 미술교사
-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장 리더십의 발현 과정: 교사행위자성 개념모델의 적용
-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