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aning in Life as a Mediator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Middle-Aged Adults with Traumatic Ev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정(Mijeong Kim) 최보영(Boyeong Cho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395~4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0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외상 경험이 없거나 고통 수준이 낮은 응답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48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22.0과 AMOS 18.0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의도적 반추는 삶의 의미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삶의 의미 또한 외상 후 성장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아, 삶의 의미가 이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년기는 삶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시기로, 삶의 의미는 외상 경험 이후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자원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는 단순한 반추를 넘어 삶의 의미를 탐색하고 강화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eaning in life ca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middle-aged adults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adults aged 40 to 65. Participants without traumatic experiences or who reported a low level of subjective distress were excluded, resulting in 248 valid case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18.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liberate ru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ding meaning in life, and those that found meaning in life, in turn,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post-traumatic growth. In contrast, the direct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post-traumatic growth was not significant, confirming that meaning in life fu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s middle adulthood is considered a developmental stage in which individuals often redefine their life purpose, finding meaning in life may function as a key psychological resource that fosters growth following trau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should move beyond mere rumination to interventions that actively explore and strengthen meaning-making.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으로 바라본 디지털 교육의 현황 - 소학교 사회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 홀리스틱 교육철학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과정 통합설계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 Z세대 치유 글쓰기에서 자기-거리두기를 위한 익명성 전략 : 병리적 징후에서 치유 역량으로의 전환 중심으로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4학년 적용 사례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제영역별 접근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활용 초등도덕 수업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교육 도구로서 영어 웹툰 활용에 관한 연구: 교양 영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의 청년기 이행과정에 관한 교육 경험 분석: 2015~2021 수료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어려움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성인학습자의 산림치유자원론 블렌디드 PBL 수업 효과와 성찰 경험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수강 경험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 교사 소진에 대한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조합 연구
-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에 대한 고찰 -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하이프 머신의 AI 알고리즘은 어떻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하는가?
-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등 예비 교사들의 ‘현실 충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 다문화 수업설계에서 신수사학적 접근의 교육적 함의 - Burke의 동일시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화책을 활용한 문해력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이야기 작문 능력에 미치는 효과: 쓰기 수준별 변화 양상 분석
- 삶의 만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 전문가, 특수교사, 보호자 의견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