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Who Chose a Major and Those Who Did Not Declared a Major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숙(Haesook Kim) 권정현(Junghyeon Kwo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살피고, 적합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수집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K대학에 무전공 입학제도를 활용하여 해당 학과(부)로 입학한 신입생 92명으로 이 중 설문 조사에 충실하게 임한 83명의 데이터를 결과 분석 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공을 선택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구분한 후 기술 통계분석, 교차 분석, t-검정 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을 선택한 집단의 진로자기조절 수준이 미선택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설정 및 탐색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그릿, 긍정심리자본, 자아존중감, 대학생활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속성은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전공을 선택한 집단의 평균 점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의 평균 점수에 비해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무전공 입학 제도로 대학에 첫발을 디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기 초에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질적인 집단을 구분한 후 이에 적합한 비교과프로그램 등의 교육과정이 설계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who chose a major and those who did not among first-year students admitted to university without a declared maj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2 first-year students admitted to a university through an undeclared major system, with data from 83 students who participated faithfully in the survey used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t-tests, after dividing the students into two groups: those who selected a major and those who did no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reer self-regulation level of students who selected a majo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Psychological attributes, such as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esteem, and college life stress, which are known to positively affect career setting and exploration behavi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group that selected a major tended to have higher average scores than the non-major group, suggesting that further research with a larger dataset may be need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ntering university without a declared major be survey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that appropriate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curricula be designed after distinguishing between the heterogeneous grou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제영역별 접근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활용 초등도덕 수업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으로 바라본 디지털 교육의 현황 - 소학교 사회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에 대한 고찰 -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의 청년기 이행과정에 관한 교육 경험 분석: 2015~2021 수료생을 중심으로
-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어려움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Z세대 치유 글쓰기에서 자기-거리두기를 위한 익명성 전략 : 병리적 징후에서 치유 역량으로의 전환 중심으로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4학년 적용 사례
- 교육 도구로서 영어 웹툰 활용에 관한 연구: 교양 영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성인학습자의 산림치유자원론 블렌디드 PBL 수업 효과와 성찰 경험 사례연구
- 하이프 머신의 AI 알고리즘은 어떻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하는가?
- 홀리스틱 교육철학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과정 통합설계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등 예비 교사들의 ‘현실 충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수강 경험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 교사 소진에 대한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조합 연구
- 다문화 수업설계에서 신수사학적 접근의 교육적 함의 - Burke의 동일시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