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Design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수(Younsoo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87~1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도덕수업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수업설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AI가 도덕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수업 모형—‘AI 기반 문제 상황 탐구 모형’, ‘AI 동기부여 실천 모형’, ‘AI 지원 성찰 강화 모형’ —을 제시한다. 첫째, AI 기반 문제 상황 탐구 모형은 AI가 현실적 문제를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으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키운다. 둘째, AI 동기부여 실천 모형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이를 실천으로 이어지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셋째, AI 동기부여 실천 모형은 학생의 가치와 행동에 대한 성찰을 체계적으로 강화한다. 이 모형들은 개인화된 학습 경험, 안전한 가상 환경,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며, 기존 도덕교육의 이론 중심 한계를 극복하고 실천적 성과를 중시한다. 그러나 실증 연구와 검증의 부족, 기술적 제약, 데이터 편향과 프라이버시 침해 같은 윤리적 위험, 교사 역량 강화의 필요성이 주요 도전 과제로 지적된다.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면 교사의 중재 역할과 전문성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도덕교육의 목표와 조화를 이루는 협력자로 기능하며, 교사와 초등학생이 기술 시대의 기회와 도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into the instructional desig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examining the potential of AI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and its applicability in classroom settings. The study proposes three instructional models: the “AI-Based Problem Situation Exploration Model”, the “AI Motivation-Driven Practice Model”, and the “AI-Supported Reflective Enhancement Model”. First, the AI-Based Problem Situation Exploration Model utilizes AI to present realistic problems and simulations, foste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skills. Second, the Emotional Empathy Role-Play Model leverages AI to analyze emotional data, enhancing empathy through role-playing activitie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others’ perspectives. Third, the AI Motivation-Driven Practice Model employs AI to spark students’ interest and connect motivation to practical activities, encouraging various application of moral values in real-life contexts. These models offer personalized learning experiences, safe virtual environments, and real-time feedback, which together overcome the theory-centric limitations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and emphasize practical outcomes. However, challenges such as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and validation, technical limitations, ethical risks including data bias and privacy concerns, and the need for enhanced teacher competency are identified as key issues. To maximize the AI’s potential,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s and their continued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eemed essential. This study underscores that AI can function not merely as a tool but as a collaborator with teachers harmonizing with the goals of moral education, supporting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in navigat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the technological era.
목차
Ⅰ. 서 론
Ⅱ. 인공지능 개념과 수업설계 원칙
Ⅲ. 인공지능 활용 초등도덕수업 설계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으로 바라본 디지털 교육의 현황 - 소학교 사회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 홀리스틱 교육철학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과정 통합설계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 Z세대 치유 글쓰기에서 자기-거리두기를 위한 익명성 전략 : 병리적 징후에서 치유 역량으로의 전환 중심으로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4학년 적용 사례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제영역별 접근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활용 초등도덕 수업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교육 도구로서 영어 웹툰 활용에 관한 연구: 교양 영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의 청년기 이행과정에 관한 교육 경험 분석: 2015~2021 수료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어려움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성인학습자의 산림치유자원론 블렌디드 PBL 수업 효과와 성찰 경험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수강 경험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 교사 소진에 대한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조합 연구
-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에 대한 고찰 -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하이프 머신의 AI 알고리즘은 어떻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하는가?
-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등 예비 교사들의 ‘현실 충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 다문화 수업설계에서 신수사학적 접근의 교육적 함의 - Burke의 동일시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