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 New Rhetorical Approach in Multicultural Curriculum Design: Focusing on Burke’s Theory of Identif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문성(Moon Seong Jeong) 이신애(Shin Ae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17~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학교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는 것이다. 현재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방향의 혼란, 다문화교육 정책과 현실의 격차, 대상과 방법의 혼란, 교사 효능감 부족 등 다문화교육에 실패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한 설득 과정에 주목하여 신수사학적 관점, 특히 Burke의 동일시와 용어적 스크린 개념을 중심으로 대안적인 다문화교육 수업 설계의 접근모형을 제안하고 그 교육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Burke의 동일시 이론은 인간의 ‘분리’된 존재에서 ‘공동체’를 형성하려는 노력을 설명하며, 이는 다문화사회의 ‘차이점’을 넘어 ‘공통점’을 발견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 유용하다. 동일시 과정은 공감, 구애, 반의식적 동일시를 통해 이루어지며, 사회적 가치 교육과 비판적 사고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용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청각 매체를 포함하는 ‘상징적 스크린’은 문화 이해와 편견 극복의 수업장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원칙(다원주의, 사회적 맥락 이해, 식견 있는 행동, 자기 관련성)을 다문화교육의 기반으로 삼아, Burke의 동일시 모형을 통해 다문화사회 구성원들이 갈등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민 정체성을 형성하는 자기주도적이고 협력적 과정을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다문화 역량 내면화에 실질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oblems in school education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necessary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propose a new approach.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s criticized for failing to achieve its goals and direction, the ga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reality, confusion over target audiences and methods, and a lack of teacher efficac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persuasion through education. Drawing on a neo-rhetorical perspective, the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design approach model focusing on Burke’s concept of identification and terministic screens and clarify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Burke's theory of identification explains the human effort to build community from separate existence. This theory is useful for transcending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o discover ‘commonalities’ and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This identification process is achieved through empathy and critical engagement, with social values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playing key roles. Furthermore, symbolic screens, which encompasses not only terminology but also diverse audiovisual media, can be utilized as classroom settings for cultural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prejudices. Ultimately, this study establishes core principles of civic education, including pluralism, contextual understanding, informed action, and self-relevance, as the found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Burke's identification model, this study proposes a self-directed and collaborative process for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o resolve conflicts and form new, shared civic identities.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vide a practical alternative to facilitate students’ internaliza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ie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문제
Ⅲ. 다문화교육에 관한 신수사학의 교육적 함의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제영역별 접근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활용 초등도덕 수업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으로 바라본 디지털 교육의 현황 - 소학교 사회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에 대한 고찰 -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의 청년기 이행과정에 관한 교육 경험 분석: 2015~2021 수료생을 중심으로
-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어려움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Z세대 치유 글쓰기에서 자기-거리두기를 위한 익명성 전략 : 병리적 징후에서 치유 역량으로의 전환 중심으로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4학년 적용 사례
- 교육 도구로서 영어 웹툰 활용에 관한 연구: 교양 영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성인학습자의 산림치유자원론 블렌디드 PBL 수업 효과와 성찰 경험 사례연구
- 하이프 머신의 AI 알고리즘은 어떻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하는가?
- 홀리스틱 교육철학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과정 통합설계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등 예비 교사들의 ‘현실 충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수강 경험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 교사 소진에 대한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조합 연구
- 다문화 수업설계에서 신수사학적 접근의 교육적 함의 - Burke의 동일시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