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Element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혁규(Hyugkyu Lee)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261~307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동향 논문을 중심으로 분야별 초등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쟁점 주제에 대한 심층 검토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연구의 미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된 초등교육 관련 메타 분석 연구들을 검토하되, 초등교육 일반, 범교과 학습 주제, 교과교육 영역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초등교사의 정체성’, ‘초등학생의 발달’, ‘PCK’, ‘교과와 교육내용’, ‘초등교육학 정립’이라는 다섯 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기존 연구를 재조명하였다. 아울러 교사 단행본이 현장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래 연구를 위한 연계 전략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초등교육 연구의 지형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연구 과제와 공동체 형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past research trends and examining key thematic areas. It first reviews existing meta-analyses on elementary education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with a particular focus on general education, cross-curricular themes, and subject-specific education. It then identifies and analyzes five key topics: elementary teacher identity, child developmen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urriculum and content, and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In addition to academic publications, teacher-authored books are also reviewed to reflect the voices and practices of educators. The study argues that teacher-driven research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field. Based on this comprehensive review, the study proposes several potential future direc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connections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expanding the role of teacher-researchers, foster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establishing a distinctive academic identity for elementary education. This paper serves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rethinking the landscape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and for envisioning its evolution in response to the ever changing educational and societal context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초등교육 분야별 연구 동향 검토
Ⅲ. 다섯 가지 주요 주제 관련 연구 검토
Ⅳ. 초등교육 연구의 미래 방향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일본의 학습지도요령으로 바라본 디지털 교육의 현황 - 소학교 사회 교과의 ICT 활용 교육을 중심으로
-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 홀리스틱 교육철학에 기반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과정 통합설계 모형 개발: A대학교 사례를 바탕으로
- Z세대 치유 글쓰기에서 자기-거리두기를 위한 익명성 전략 : 병리적 징후에서 치유 역량으로의 전환 중심으로
-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4학년 적용 사례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 전공교육과정 성과관리 체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주제영역별 접근을 중심으로
- 인공지능(AI) 활용 초등도덕 수업 설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교육 도구로서 영어 웹툰 활용에 관한 연구: 교양 영어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기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통합교육 관련 교원 연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 오디세이학교 수료생의 청년기 이행과정에 관한 교육 경험 분석: 2015~2021 수료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어려움에 관한 조사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 초등교육 분야 연구의 미래 방향 탐색
- 성인학습자의 산림치유자원론 블렌디드 PBL 수업 효과와 성찰 경험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수강 경험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의 매개효과
- 교사 소진에 대한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 조합 연구
- 통합사회 교육과정 통합 원리에 대한 고찰 - 다학문적 통합 원리의 유용성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하이프 머신의 AI 알고리즘은 어떻게 소셜 미디어 중독을 유발하는가?
- 교육봉사활동 과정에서 경험하는 중등 예비 교사들의 ‘현실 충격’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 다문화 수업설계에서 신수사학적 접근의 교육적 함의 - Burke의 동일시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