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Relationship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팽현지(Hyunji Paeng) 정여주(Yeoju Chung)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113~1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자기분화 척도, 관계중독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2.0, AMOS 22.0을 활용하여 Pearson 적률 상관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기분화가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로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은 타당하였다. 또한, 정서조절곤란은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은 자기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대학생의 자기분화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에 의해 관계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관계중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치료하는 상담 현장에서, 비교적 다루기 쉬운 정서적 차원의 요인을 찾았으며, 특히 정서인식과 정서조절 능력의 종합적 개입을 강조한 정서 중심적 개입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clar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8 colle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ifferentiation of Self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Emotion Clarity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 momentum correlation analysis and equation model verification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del mediated by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dysregulation is valid in finding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relationship addiction. In addition, emotional dysregula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with regard to the differentiation of self 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other words, the study found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indirectly influences relationship addiction through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dysreg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relatively easy-to-treat emotional dimension in the counseling field of treating college students struggling with relationship addiction, and provided the necessity for emotion-focused interventions that emphasize comprehensive interventions of emotion recognition and reg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팽현지(Hyunji Paeng),정여주(Yeoju Chung). (2025).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33 (5), 113-140

MLA

팽현지(Hyunji Paeng),정여주(Yeoju Chung).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33.5(2025): 11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