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 Concept-Based Inquiry in Lower Elementary Grades: Action Research on Inquiry-Based Learning and Basic Academic Skill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백선영(Sunyoung Baek)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3권 제5호, 211~23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기초·기본 교육을 사고력 중심의 탐구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한 개념기반 통합교육과정의 실행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와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건강한 하루’와 ‘공존하는 우리’라는 두 개의 단원을 구성하고,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원리를 적용한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업 설계는 중심 개념 도출, 본질적 질문 구성, 자료 탐색, 개념 연결, 일반화 문장 구성의 순환 구조로 구성되었으며, 시각화 전략, 조작 활동을 통한 사고 구체화 전략, 학생 참여형 질문 활동 등 저학년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전략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중심 개념을 다양한 하위 개념과 연결하며 사고를 구조화하였고, 발표하기, 경청하기, 읽기, 글쓰기, 조사하기 등 기초·기본 교육 또한 개념 탐구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발휘되었다. 한편, 개념의 추상성과 언어화의 어려움, 수업 설계의 복잡성 등의 도전 과제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교사의 중재 전략, 반복적 질문 구성, 시각적 시각화 도구 활용을 통해 부분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기본 교육이라는 기능의 반복적 숙달을 넘어서 사고력 신장과의 통합을 통한 초등 저학년 개념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가능성과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 concept-based Inquiry designed to shift basic education for lower elementary students from a skills-centered approach to one grounded in inquiry and thinking. To this end,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in South Korea. Two curriculum units, Daily cycle and Coexisting Together,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ctual first-grade classrooms, reflecting the key id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vised curriculum. Each lesson was structured around a cyclical flow consisting of concept identification, essential question formulation, resource exploration, concept connection, and generaliz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suitable for lower-grade learners—such as visual concept mapping, guided verbalization strategies, and student-driven questioning—were systematically applied. As a result, students actively structured their thinking by connecting key concepts (e.g., day, health, coexistence) with related sub-concepts, while simultaneously engaging in integrated literacy and inquiry functions, includi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research. Several challenges emerged during the process, such as the abstractness of concepts, the difficulty of verbal expression, and the complexities of lesson planning. However, these were partially addressed through the teachers’ mediation strategies, repeated questioning, and the use of visual tool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oncept-based curricula can be meaningfully implemented in lower elementary settings and that such an approach enables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foundational academic skills, moving beyond rote function-based instruction. The findings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nquiry-centered teaching in the early grad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1학년 개념기반 탐구수업 실행연구: 실행-관찰-반성의 순환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선영(Sunyoung Baek). (2025).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열린교육연구, 33 (5), 211-236

MLA

백선영(Sunyoung Baek).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실행연구를 통한 개념기반 탐구 수업의 적용과 기초·기본 교육의 탐구적 전환 가능성." 열린교육연구, 33.5(2025): 211-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