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Seni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설미진(Mi Jin Seol)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351~3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 SNS 중독경향성, 대인관계문제,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간호교육 과정에서 학생들의 미디어 사용 습관과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전문직관 강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K도에 소재한 간호대학 2곳에서 실습경험이 1회 이상 있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WIN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 검정,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과 일평균 SNS 사용 시간에서 간호전문직관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대인관계문제(r=-.171, p=.013)와 하위요인 중 사람들에게 맞섬(r=-.237, p=.00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사람에게 맞섬(β=-.497, p=.020), 일평균 SNS 사용 시간(2시간 이상)(β=.218, p=.041), 대인관계문제(β=-.202, p=.04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최종 설명력은 29.4%였다(F=2.17, p=.04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서는 대인관계문제, 특히‘사람에게 맞섬’과 같은 부정적인 반응을 완화할 수 있는 정서조절 및 의사소통・대인관계 능력 향상 교육이 필요하며, SNS 과다 사용을 줄이고 건전한 미디어 사용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자기조절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이 긍정적 인간관계 기술을 바탕으로 전문직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관을 건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차원의 통합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addiction tend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ith the goal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strengthen professionalism by considering students’media usage habit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nursing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119 seni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from two nursing colleges in K province, Korea, all of whom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clinical practic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7.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with Scheffé post-hoc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average daily SNS usage time. Nursing professional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s(r=.194, p=.011), particularly with the subfactor‘oppositional toward others’(r=-.237, p=.009).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in order, subfactor‘oppositional toward others’(β=-.497, p=.020) of interpersonal problems, average daily SNS usage time of 2 hours or more(β=-.218, p=.041), and interpersonal problems(β=-.202, p=.049),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32.1%(F=31.87, p< .001). Therefore,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hat enhances emotional regulati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to alleviate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ularly negative responses such as‘oppositional toward others’as well as self-regulation training to reduce excessive SNS use and promote healthy media attitudes. Through such efforts,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integrate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dimensions is required to enable nursing students to build a professional identity and values grounded in positive interpersonal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호조직의 효율적 위기대응전략을 위한 리스크 관리 휴먼팩터 요인 분석 - 리스크 회피, 리스크 통제를 중심으로
- 서울지역 역사인물 관광문화컨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토정 이지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냉전 시대와 한반도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남・북한 통일 방안을 중심으로
- 안전보건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지역복지현장에서의 자산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가능성 탐색
-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 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AG와 Fine-tuning을 활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식별 LLM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전문성 강화 및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대학교 안전교육 수강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차이 분석
- 법무보호복지사업 비용편익분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 안전문화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분석
- 위협평가를 통한 표적화된 폭력의 예방적 개입방안 연구
-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액션러닝 적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통합형 진술비교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