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f Strengthening Expertis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Hazard Investigation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CI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양혜민(Hye Min Yang) 최서연(Seo Yeon Choi) 전시현(Si Hyun Jeo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77~8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업장의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CIT 기법을 활용한 조사 문항은 선행연구의 학위・학술 논문을 참고하여 문항을 설계하였으며, 현장에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를 직접 경험하는 관리감독자들을 대상으로 정성적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CIT 분류방법을 활용한 설문 문항은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를 실시 후 불만족스러웠던 구체적인 경험과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으로 구성하였다. 3번의 재범주화 작업을 시행한 분석자 간의 유형 일치도는 91%, 94%, 97%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 경험은 약 80.6%로 제조업의 실시 경험이 다른 업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시 조사 전문 인력 및 지식의 부족과 조사 방법의 적합성이 주요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시 개선 방향으로는 예방프로그램 운영과 사업주 관심 증대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성적 접근으로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개선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졌다는데 그 의미가 크며, 이를 통하여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가 현실적으로 운영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하는 제도적 개선을 위하여 조사 방법, 조사 인력 등 조사 기준의 명확성과 조사 후 관리체계 마련을 제안하며,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workplace musculoskeletal hazard factor assessment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e survey questions, utilizing the CIT technique, were design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academic papers. A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managers and supervisors. The inter-analyst agreement on the survey results was high, reaching 91%, 94%, and 97%, respectively, after three rounds of recategoriz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80.6% of workplaces had experience conducting musculoskeletal hazard factor assessments, with manufacturing industries demonstrating higher levels of experience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Key challenges identified in musculoskeletal hazard factor assessments included a lack of specialized personnel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assessment methods. Furthermore, a high level of awareness emerged regarding the need for improved prevention programs and increased employer engagement in musculoskeletal hazard factor assess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d the strengthening and improvement of expertise in the investiga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risk factor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this, it proposes clarity of investigation criteria such as investigation methods and perso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t-investigation management system to ensure that the investiga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risk factors is operated realistically and to promote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is purpos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호조직의 효율적 위기대응전략을 위한 리스크 관리 휴먼팩터 요인 분석 - 리스크 회피, 리스크 통제를 중심으로
- 서울지역 역사인물 관광문화컨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토정 이지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냉전 시대와 한반도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남・북한 통일 방안을 중심으로
- 안전보건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지역복지현장에서의 자산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가능성 탐색
-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 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AG와 Fine-tuning을 활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식별 LLM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전문성 강화 및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대학교 안전교육 수강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차이 분석
- 법무보호복지사업 비용편익분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 안전문화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분석
- 위협평가를 통한 표적화된 폭력의 예방적 개입방안 연구
-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액션러닝 적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통합형 진술비교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