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nditions and Management Measures for Night Workers Using the IPA Matrix Method - Focused on the 10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이현(Yi Hyeon Park) 천영우(Young Woo Chon) 이상원(Sang Won Lee) 정나린(Na Rin Jeong) 김홍관(Hong Kwa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야간근로 종사자의 증가하는 추세와 그에 따른 재해건수의 증가를 파악하여 야간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 측면의 개선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야간근무에 대한 안전・보건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리대책을 제안함으로써 산업재해율을 감소시키고 안전・보건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대상 중 야간작업 근로자 비율 20% 이하인 사업장과 80% 이상인 사업장 4,793개 사업장을 선정하였으며,「산업안전보건법」과 KOSHA-MS를 활용하여 6개의 분석 지표를 설계하고 각 지표에 해당하는 40개의 설문문항을 적용해 IPA Maxtrix(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Matrix)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0개의 변수에서 39개의 변수가 야간작업 근로자 비율 80% 이상인 사업장의 안전・보건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IPA Matrix의 사분면 분포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고 안전보건 수준이 낮은 1사분면에 12% 더 많은 변수가 분포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간작업과 달리 직접적인 감독이 어렵고 미리 설계되어있는 안전규정과 절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야간작업의 특성이 반영된 정책 추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야간작업 환경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취약점을 토대로 기업차원에서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increasing trend of night work among workers and the corresponding rise in the number of accidents, thereby confirm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safety and health aspects for night wor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 rates and improve safety and health levels by analyzing the safety and health status of night work and suggesting corresponding management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793 workplaces selected from among the targets of the 10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specifically those with a proportion of night shift workers less than or equal to 20%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80%. Six analysis indicators were designed using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nd KOSHA-MS, and 40 survey questions corresponding to each indicator were appli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PA Matrix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39 out of the 40 variables, the safety and health levels of workplaces with 80% or more night shift workers were relatively low. In the quadrant distribution of the IPA Matrix, it was also found that 12% more variables were distributed in the first quadrant, which represents high importance and low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t is considered that poli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night work-where direct supervision is difficult and there is often a reliance on pre-established safety rules and procedures-should be implemented. Furthermore, the structural vulnerabilities identified in night work environments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t the enterprise level as indicators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호조직의 효율적 위기대응전략을 위한 리스크 관리 휴먼팩터 요인 분석 - 리스크 회피, 리스크 통제를 중심으로
- 서울지역 역사인물 관광문화컨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토정 이지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냉전 시대와 한반도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남・북한 통일 방안을 중심으로
- 안전보건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지역복지현장에서의 자산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가능성 탐색
-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 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AG와 Fine-tuning을 활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식별 LLM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전문성 강화 및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대학교 안전교육 수강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차이 분석
- 법무보호복지사업 비용편익분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 안전문화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분석
- 위협평가를 통한 표적화된 폭력의 예방적 개입방안 연구
-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액션러닝 적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통합형 진술비교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