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university safety education method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고희윤(Hee Yoon Ko) 조한진(Han Jin Jo)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143~1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수강방법(집합교육, 온라인교육, 혼합교육)에 따라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근 대학 실험실에서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교육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실효성 있는 안전교육 운영 방안을 제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08부의 응답을 SPSS 26.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등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교육은 세 가지 교육방법 중에서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모두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그다음으로는 혼합교육, 마지막으로 온라인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로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전반적인 교육성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4학년의 경우 온라인교육 비율이 가장 높고, 학습성과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방식 및 내용의 개인화와 체계적인 이수 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육방법별 학습성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대학 안전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집합교육의 상호작용성과 경험 기반 학습의 효과성, 혼합교육의 가능성, 그리고 학년별 맞춤형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안전교육은 학습자 특성과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화되고 정교화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method of safety education: face-to-face, online, and blended learning. With the continued occurrence of laboratory accidents in universities, there is a growing ne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to present effectiv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South Korea, and a total of 408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through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showed that face-to-face education yielded the highest levels in all three variables—learning satisfaction, engagement, and outcomes—followed by blended education, and lastly online education. Additionally, as students progressed to higher academic years,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tended to decrease. In particular, fourth-year students showed the highest rate of onlin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he lowest level of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personalized and systematically designed safety education programs. By empirically demonstr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struct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university safety education. It particularly highlights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and experience-based learning in face-to-face education, the potential of blended learning,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ustomized strategies based on students’ academic levels. Future safety education should be diversified and refined in alignment with learn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호조직의 효율적 위기대응전략을 위한 리스크 관리 휴먼팩터 요인 분석 - 리스크 회피, 리스크 통제를 중심으로
- 서울지역 역사인물 관광문화컨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토정 이지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냉전 시대와 한반도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남・북한 통일 방안을 중심으로
- 안전보건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지역복지현장에서의 자산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가능성 탐색
-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 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AG와 Fine-tuning을 활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식별 LLM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전문성 강화 및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대학교 안전교육 수강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차이 분석
- 법무보호복지사업 비용편익분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 안전문화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분석
- 위협평가를 통한 표적화된 폭력의 예방적 개입방안 연구
-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액션러닝 적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통합형 진술비교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