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이용수  3

영문명
The Effects of a Coaching Program for Corporate Managers and the Mediating Role of Commitment-Based Safety Leadership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조호동(Ho Doung Cho) 이준원(Joon Won Lee) 정병철(Byeong Cheol Jeo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5호, 129~14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조업 관리자 및 임원을 대상으로 한 안전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이 현장 중심 리더십 수준 향상과 구성원의 안전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오늘날 산업현장에서의 중대재해 예방과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관리자 스스로의 안전리더십 역량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코칭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GROW 모델을 기반으로 한 6주간의 리더십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코칭 참여 전후 리더십 변화 및 구성원의 인식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조업 소속 관리자 158명과 이들과 협업하는 조직 구성원 8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현장 중심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신뢰도 검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프로그램 참여는 관리자들의 현장 중심 안전리더십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구성원들의 자율적이고 참여적인 안전행동으로 이어졌다. 특히, 관리자 리더십의 변화가 구성원의 행동 변화를 매개함으로써 조직 전반의 안전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관리자 대상의 코칭 기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이 구성원의 실질적인 안전행동 변화를 이끌 수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안전문화 고도화를 위해 단기 교육 중심의 리더십 개발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코칭 기반 개입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 safety leadership coaching program targeting managers and executiv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demands for serious accident pre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robust safety culture in industrial settings, the development of managerial safety leadership capabilities has become essential. To address this need, a six-week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GROW model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program aimed to enhance field-oriented leadership competencies and promote safety behavior among employees. A total of 158 managers and 830 employees from manufacturing si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 pre-post design, changes in leadership behaviors and employee safety actions were measured through validated survey instrum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tes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the coaching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managers’ field-oriented safety leadership,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employees’ proactive and participative safety behaviors. Moreover, the analysis confirmed that changes in managerial leadership served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coaching intervention and employees’ safety behavio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the overall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coaching-based leadership development for managers can effectively drive actual changes in employee safety behavior. It furth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ving beyond short-term, lecture-based training toward sustainable, coaching-driven interventions to advance safety leadership and foster a mature safety cultur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호동(Ho Doung Cho),이준원(Joon Won Lee),정병철(Byeong Cheol Jeong). (2025).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안전문화연구, (), 129-142

MLA

조호동(Ho Doung Cho),이준원(Joon Won Lee),정병철(Byeong Cheol Jeong).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안전문화연구, (2025): 129-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