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Data Literacy on the Job Competenc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임충동(Chung Dong Im) 김병직(Byung Jick Kim) 어원석(Won Souk Eoh) 정미경(Mi Kyeong Jeong) 권용화(Yong Hwa Kwo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281~29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자의 핵심 역량으로 부상한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산업안전보건 분야에서는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도입과 안전데이터 분석 등 디지털 기술 활용이 확대되면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보건 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와 직무역량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데이터 리터러시의 하위요인별로 직무역량의 다양한 측면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안전보건관리자 1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Jamovi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 이해’, ‘데이터 수집 및 의사결정’,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의 3개 하위요인으로, 직무역량은 ‘역량인식’, ‘객관적 성과’, ‘추진활동 개선노력’, ‘역량개선 정도’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터 리터러시 하위요인은 직무역량의 각 측면에 차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데이터 이해’는 역량인식에, ‘데이터 수집 및 의사결정’은 역량인식·객관적 성과·역량개선 정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객관적 성과와 추진활동 개선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 전반에 일률적으로 작용하기보다 하위요인별로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목표하는 직무역량에 부합하는 데이터 리터러시 요소를 전략적으로 개발·강화하는 맞춤형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search Background: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ccelerated digital transformation across industries, data literacy has emerged as a core competency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managers. In the OSH field, the adoption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afety data analytics has expanded the role of data-driven decision-making and the ability to utilize digital tools. Nevertheless, empirical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literacy and job competency among OSH managers remains limited.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data literacy on the job competency of OSH managers, focusing on the differentiated influence of each sub-factor of data literacy on various aspects of job competency. Methods: A total of 122 OSH manage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Jamovi 2.3. Data literacy was categorized into three sub-factors: data understanding, data collection and decision-making, and data communication. Job competency was categorized into four sub-factors: competency recognition, objective performance, efforts to improve activities, and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data literacy had distinct effects on specific aspects of job competency. Data understand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etency recognition. Data collection and decision-making significantly influenced competency recognition, objectiv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competency improvement. Data communication significantly affected objective performance and efforts to improve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ta literacy does not uniformly affect all aspects of job competency but rather exerts selective effects depending on the sub-factor. Conclusion: Data literacy plays a differentiated and selective role in enhancing various dimensions of job competency among OSH managers. Therefore, a customized approach is required to strategically develop and strengthen the data literacy components that align with targeted job competency areas. The finding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an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OSH manag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호조직의 효율적 위기대응전략을 위한 리스크 관리 휴먼팩터 요인 분석 - 리스크 회피, 리스크 통제를 중심으로
- 서울지역 역사인물 관광문화컨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토정 이지함의 사례를 중심으로
- 신냉전 시대와 한반도 통일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남・북한 통일 방안을 중심으로
- 안전보건관리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지역복지현장에서의 자산기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가능성 탐색
- IPA Matrix 기법을 활용한 야간근로자 안전보건 실태 분석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제10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실수 인식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RAG와 Fine-tuning을 활용한 건설현장 위험요인 식별 LLM 성능 개선 방안 연구
- 결정적 사건기법(CIT)을 활용한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의 전문성 강화 및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기업 관리자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와 현장중심 안전리더십의 매개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 대학교 안전교육 수강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 학습몰입도, 학습성과 차이 분석
- 법무보호복지사업 비용편익분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 안전문화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분석
- 위협평가를 통한 표적화된 폭력의 예방적 개입방안 연구
-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와 관련된 요인 분석 -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 액션러닝 적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통합형 진술비교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 입원환자의 환자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와 간호전문직관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건설현장에서 안전보건교육이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의 활용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