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김정서 문국경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3호, 63~9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공조직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를 효과적으로 고취시키는 인적자원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윤리적 리더십과 공공봉사동기 간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행정연구원이 2024년에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의 공・사조직 구성원 인식 비교 조사」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윤리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은 공공봉사동기에 유의한 정(+)의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포용적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간접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학습이론, 사회적 교환이론, 개인–조직 적합성 이론의 관점에서, 윤리적・서번트 리더십이 가치 정렬, 호혜적 교환, 그리고 모범 학습을 통해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리더십과 공공봉사동기 간 관계를 다층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으로는 리더십 연구의 확장에, 실무적으로는 공공조직의 인사관리 전략 수립에 기여한다.

영문 초록

Enhancing th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public organizations requires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hat effectively foste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inclusive leadership on PSM, with a particular focus on testing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PSM. Data were drawn from the 2024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Members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mong central and local public employe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ethical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had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PSM, whereas inclusive leadership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urthermore, ethical leadership indirectly influenced PSM through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Drawing on social learning theory, social exchange theory, and person–organization fit theo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thical and servant leadership enhance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value alignment, reciprocal exchange, and role modeling.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PS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advancement of leadership research and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public organiz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V. 분석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서,문국경. (2025).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4 (3), 63-98

MLA

김정서,문국경.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4.3(2025): 6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