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Digital Leadership and Political Salience on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by Public Official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최은지 조윤직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3호, 27~6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이 그러한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코로나19 시기와 맞물려 정부조직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었으며, 지난 윤석열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제시하고,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의 대전환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업무방식의 대전환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실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하는 공무원들의 의도가 중요하며, 관리적 차원에서 어떤 요인들이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시그니처 연구클러스터 사업단의 「공공부문 디지털전환 전략에 관한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과 조직의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은 정(+)의 관계에 있었으며,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은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와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 리더십이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매개변수인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이 디지털 리더십과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적 현저성은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만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에 바탕하여 몇 가지 실제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digital leadership and political salience on public official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DT). It explores whether the organization’s extent of DT implementation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ublic sector accelerated. The Yoon administration proposed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nitiative and advocated for a major transformation in how public officials work. Achieving this transformation requires public officials’ intention to use DT and underscores the need to address the issue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Using survey data on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git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use DT, which was fully mediated by the organization’s extent of DT implementation. On the other hand, political salienc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hese findings yield several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HRM and HRD practices in the public sector.
목차
Ⅰ. 서 론
Ⅱ. 공공부문의 디지털 전환
Ⅲ.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