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om Institutional Insider to Institutional Outsider: A Life History of an Administrative Specialist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손지혜(Jihye Son) 남부현(Bu-Hyun Na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607~6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직 공무원 김OO의 생애사를 통해 국가 행정체계 내에서 축적된 전문성과 윤리적 감수성이 퇴직 후 제도 밖 민간 영역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상세히 탐색하였다. 생애사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김OO가 공직 생활 동안 다양한 직무 영역에서 축적한 경험과 전문적 역량이 어떻게 고려인 공동체를 지원하는 실천적 활동으로 이어졌는지 분석하였다.
김OO는 전라북도 정읍에서 출생하여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1989년 출입국관리사무소를 시작으로 약 25년간 통계청, 국가청렴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등에서 다양한 행정 업무를 수행했다. 그는 특히 출입국 관리 업무를 통해 국제적 감각과 외국인 정책에 대한 전문성을 쌓았다. 더불어, 러시아어 학습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유학을 통해 언어적 능력과 국제적 역량을 갖추었다. 그러나 공직 생활 중 IMF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적 위기 상황과 정부 부처 간 빈번한 이동으로 인해 축적된 전문성이 단절되는 경험도 겪었다.
2012년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외국인 고충 민원 업무를 수행하며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행정서비스에서 소외된 고려인들의 현실을 목격하고 문제의식을 느낀 그는, 퇴직 후 본격적으로 고려인 지원 활동에 나섰다. 2014년 퇴직 후 서울 동대문 지역에 고려인을 위한 행정 상담, 비자 및 귀화 행정 대행, 한국어 교육 등을 제공하는 사무소를 개설하고 직접적인 사회적 실천을 시작하였다.
김OO의 활동은 단순한 민간 자원봉사를 넘어서, 국가의 공식적인 행정체계가 접근하지 못하는 제도적 사각지대에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공직 경력을 통해 축적한 전문성과 행정 지식을 활용하여 법적·행정적 지원이 절실한 고려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는 지역 공동체와의 물리적 교류가 중단되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화 상담과 긴급 행정 지원 등을 지속하며 실천의 지속성을 유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성과 사회적 실천의 개념이 반드시 제도 내부에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제도 밖에서 개별적인 전문성과 윤리적 책임감으로도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퇴직 공직자의 경험과 전문성이 사회적 자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개인의 생애사를 통해 공공부문 경력과 제도 밖 사회적 실천의 연결성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접근법임을 제시하며, 퇴직 공직자의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how the professional expertise and ethical sensibilities developed within the n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can transition into concrete social practices outside institutional structures through the life history of a former public official, Kim OO. Adopt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he study analyzes how Kim’s diverse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competencies accumulated during his public service career have translated into practical support activities for the Koryo-saram (ethnic Korean) community.
Kim OO was born in Jeongeup, Jeollabuk-do, and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e began his public service career at the Immigration Office in 1989 and served approximately 25 years across various governmental departments, including the Statistics Office, National Integrity Commission, and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He developed international insight and expertise in foreigner policy through immigration administration tasks, supplemented by language proficiency in Russian and studies abroad at Sain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However, his career also faced challenges due to external crises such as the IMF financial crisis and frequent departmental reassignments that disrupted the continuity of his accumulated expertise.
While working at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in 2012, Kim recognized the systemic neglect faced by Koryo-saram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insufficient administrative services. After retirement in 2014, he actively engaged in providing targeted support, establishing an office in Seoul’s Dongdaemun area to offer administrative counseling, visa and naturalization assistanc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o-saram.
Kim’s activities extend beyond mere voluntary work, playing a significant and sustained role in filling institutional gaps left unaddressed by formal administrative structures. Leveraging his professional knowledge and administrative experience, he provided essential legal and administrative assistance to the Koryo-saram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espite disruptions in direct community interactions, Kim continued his efforts through phone counseling and emergency administrative support, maintaining the continuity of his social practi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oncepts of publicness and social practice can effectively manifest beyond institutional confines, driven by individual expertise and ethical responsibility. The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leveraging retired public officials’ expertise as valuable social capital and proposes life history analysis as an effective methodolog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deep connections between public-sector careers and social practices outside institutional frameworks.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policy support mechanisms to harness the professional skills of retired public servants.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3. 생애사 분석
4. 결론 및 연구의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