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mmunality and Social Functions of Folk Songs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김정희(Jeong-hee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11~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요에서 공동체 의식은 공동작업이 요구되는 일노래나, 상여소리 등의 의례요에서 자주 나타난다. 이때 민요의 기능은 ‘작업의 효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음악 요소들은 그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선택된다. 메기는소리는 작업을 지휘하는 기능을, 받는소리는 같은 악구를 반복해서 부르며 작업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공동체 의식의 직접적 표현은 메기는소리에 집중되며, 모두가 같은 소절을 반복 제창하는 받는소리의 양식은 민요의 공동체성을 드러내는 핵심이다.
일상에서 민요는 긍정적 감정을 배가하고, 부정적 감정은 해소, 승화하는 ‘정서적 기능’을 가지며, 문학적 표현과 음악적 선율진행 등으로 가창자의 예술성을 구현하는 기능도 갖는다. 노랫말에 나타난 철학과 가치관, 자부심은 개인으로부터 점차 더 큰 단위의 공동체로, 나아가 생태계에까지 의식의 경계를 넓힌다. 또 공동체의 단합과 화합을 이끄는 사회적 기능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의 일체감을 도모한다.
영문 초록
In folk songs, the sense of community often emerges in work songs that require group labor, or in ritual songs like songs for carrying a bier. In such cases, the function of the folk song focuses on enhancing work efficiency, and musical elements are selected to maximize that effectiveness. The megineun-sori (lead call) functions to direct the work, while the batneun sori (chorus response), which repeats the same musical phrase, helps the workers overcome physical hardships. The express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is concentrated in the megineun-sori, and the structure of everyone repeatedly echoing the same phrase in the batneun sori is a key characteristic that highlights the communal nature of folk songs.
In daily life, folk songs serve an emotional function - amplifying positive feelings while easing or sublimating negative emotions. They also function as a medium for the singer’s artistry through literary expression and musical progression. The philosophies, values, and pride expressed in the lyrics extend one’s awareness from the individual to increasingly larger communities, even to the ecosystem. Moreover, through their social function of fostering unity and harmony within the community, they promote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목차
1. 들어가며
2. 공동체에서 민요의 주요 기능
3. 노랫말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과 사회적 기능
4.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