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the Gayageum Byeongchang Danga “Gaekraemunaheungmangsa”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박혜련(Hye ryun Park)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37~5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에 나타나는 사설 구성과 연주 형태 및 음악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가야금병창의 장르적 정체성과 음악적 다양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객래문아흥망사」는 판소리 「수궁가」의 일부 대목을 단가 형식으로 재구성한 곡이다. 본 고는 유성기 음반과 악보에 기반하여 김갑자, 김금옥, 심상건, 강순영, 강정열 등 다섯 명인의 연주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항목은 사설의 단락 구성 및 장단 운용, 내드름, 종지, 간주의 형식과 배치 방식, 음역과 시김새, 조성 변화 등이다.
그 결과, 동일한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구조적 구성과 표현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각 명인의 해석과 음악적 성향이 병창곡의 성격을 다양하게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갑자는 높은 음역과 빈번한 간주를 통해 화려함을 부각하였고, 김금옥은 석화제의 단순한 리듬과 담백한 표현을 보여주었다. 심상건은 가야금 반주를 최소화하여 소리를 중심에 둔 간결한 병창을 구성하였으며, 강순영은 다양한 시김새와 음역 하행을 활용한 장식적 표현이 두드러졌다. 강정열은 평조와 계면조의 혼용, 반복 간주 삽입 등을 통해 조성 변화를 유도하며 곡의 완성도를 높였다.
본 연구는 다섯 명인의 연주를 비교함으로써, 가야금병창 단가가 기존 판소리에 가야금 반주를 덧붙여 부르는 단계를 넘어 독자적인 병창 형식으로 발전해 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가야금병창 레퍼토리의 전승과 재창작에 있어 창자 중심의 음악 해석, 곡목 구성의 융통성, 다양한 연주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re identity and musical diversity of gayageum byeongchang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performance styl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nga piece “Gaekraemunaheungmangsa.” This piece is a danga-style reinterpretation of a passage from the pansori repertoire Sugungga. The analysis is based on phonograph recordings and scores of five master performers-Kim Gap-ja, Kim Geum-ok, Shim Sang-geon, Kang Sun-yeong, and Kang Jeong-yeol.
Key analytical categories include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text and its rhythmic deployment, the use of naedeureum (introductory phrases), cadential formulas, the form and placement of instrumental interludes, vocal range and ornamentation (sigimsae), and tonal modulations.
The results reveal that, although based on the same piece, the performances exhibit significant variation in structural organization and expressive interpretation, reflecting each performer’s individual musical perspective. Kim Gap-ja emphasized brilliance through a higher vocal range and frequent interludes; Kim Geum-ok presented a restrained expression with simple rhythmic patterns characteristic of the Seokhwaje style. Shim Sang-geon offered a minimalist interpretation by reducing gayageum accompaniment, thereby centering the vocal delivery. Kang Sun-yeong’s performance was notable for its decorative style, employing diverse sigimsae and descending melodic contours. Kang Jeong-yeol enhanced the musical completeness of the piece through modulations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modes and the insertion of repeated interludes. By comparing these five interpret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gayageum byeongchang danga has evolved beyond simply appending gayageum accompaniment to existing pansori pieces.
It has developed into a distinct and independent musical form within the byeongchang genre. This ha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serv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gayageum byeongchang repertoire,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singer-centered musical interpretation, flexibility in repertoire composition, and the creative use of diverse performance techniques.
목차
1. 여는 글
2. 사설 단락 구분 및 장단 비교
3. 연주 형태 비교
4. 맺는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