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ltural Policy Proposals Based on the Oral Histories of Elderly Female Artists in Incheon and Comparative International Case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김주현(Joohyun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6권 제2호, 333~378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천 지역 고령 여성 예술가들의 생애 구술을 통해 이들의 문화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기여를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전략을 제시한다. 문학, 시각예술, 전통음악, 사진, 연극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30년 이상 활동해온 예술가 5인을 대상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술 실천과 지역 정체성, 제도적 한계 간의 교차 지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령 여성 예술인의 창작 활동은 단순한 개인적 표현을 넘어 지역 공동체의 문화 정체성과 예술 자산을 형성하는 핵심적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오랜 삶의 경험과 감성을 예술로 전환하며, 세대 간 기억을 잇고 사회적 연대를 촉진하는 ‘살아 있는 문화기록자’로 기능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 예술 마루’, ‘예술 생애 3단계 모델’, ‘창작 예술 생애 보장제’ 등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정책 모델을 제안하며, 연령·장르 맞춤형 창작 교육 체계 구축, 예술 활동 접근성 향상, 전문가 중심의 공정하고 투명한 지원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아울러 영국, 캐나다, 핀란드의 고령 예술 지원정책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문화정책의 국제적 확장 가능성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정책에서 배제되어 온 고령 여성 예술인의 목소리를 문화정책의 핵심 자원으로 전환하고, 지역 기반 문화생태계의 회복력과 다양성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ltural and social contributions of elderly female artists in Incheon, South Korea, through oral history and proposes actionable policy strategies to foster a sustainable cultural and artistic ecosystem.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4 with five artists-each with over 30 years of experience across literature, visual arts, traditional music, photography, and theatre and film-the study analyzes the intersections of artistic practice, local identity,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Findings reveal that the artistic practices of these women serve not only as individual expressions but also as vital cultural assets that shape the identity and heritage of local communities. Their work transcends personal narratives, functioning as a living archive of collective memory and social cohesion. In response, the study proposes innovative policy models, including the “Community Art Maru” platform, a “Three-Stage Creative Life Model,” and a “Guaranteed Artistic Life Policy.” These frameworks emphasize the need for age- and discipline-sensitive creative education, equitable access to artistic participation, and a transparent support system led by expert review panels. By situating these insights within a comparative framework-examining cultural aging policies in the UK, Canada, and Finland-this research highlights globally applicable pathways for inclusive cultural policy development. Ultimately, this study transforms marginalized voices into foundational resources for cultural policymaking and contributes to a more equitable and resilient arts ecosystem.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대상
3. 분석 및 정책 제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자연 제6권 제2호 목차
- 김영재 해금독주곡 “계명곡(鷄鳴曲)” 연구 : 의성·의태 표현을 중심으로
-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의 진화와 K-Pop 음악에 관한 탐구
- 소리와 감정의 서사 - 영화 <왕의 남자>에서의 음악을 통한 욕망과 권력의 표현
- 한·중 예술가곡 비교연구 - 작곡가 이수인과 스광난의 작품을 중심으로
- 과정평가형 국가자격제도를 적용한 문화예술 전문인력 자격제도 설계 연구: 학예사와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인천 고령 여성 예술가의 구술사와 해외 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정책 제안
- 建國前夜(미군정기), 한국근대역도 개척자 서상천의 길 - 반공건국투쟁 활동을 중심으로
- 중국 ‘미니 웹 드라마’의 발전과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 탈진실(post truth)의 시대, 디지털 판옵티콘(panopticon)과 주체화의 문제
- 민요에 나타난 공동체성과 사회적 기능
- 한국 기독교 음악의 초기 형태 연구 - 1800년 이전부터 1900년대를 중심으로
- 『正易』 서문 ‘大易序’의 易學的 의미
- 가야금병창 단가 객래문아흥망사 비교연구
- 음악리듬과 미술의 융합
- 기업과 지자체의 ESG 및 메세나 활동 개선방안 연구 - 문화예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국제비교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소득분배
- 국악 도제교육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태도와 학생 자존감에 관한 연구
- 소곡(素谷) 윤광소(尹光紹)의 문학 연구
- 사열대 위의 권력: 높이, 방향, 발언의 정치
- 천연물 유래 항산화물질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후기 하이데거의 부정신학적-신비주의적 방법론과 그것의 존재사유적 의미 - 생태계위기의 극복과 동서양사유의 상호대화를 위한 기여가능성에 관련하여
- 북송말기(北宋末期) 소령사(小令詞)의 추락과 착지
- 제도 안에서 제도 밖 실천가로 - 한 행정사의 생애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세계 제7권 4호 목차
- 고대 러시아위경에 나타난 ‘천국’의 개념 연구 : 성경텍스트의 대조를 통해
- ‘MZ세대’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 <성산별곡>, <고공가>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